증권정책

증시부진에 주식 발행 줄고, 금리인상에 회사채 발행 늘고

(자료=금융감독원)지난해 증시부진으로 주식 발행 규모는 줄어든 반면, 금리 인상으로 회사채 발행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주식과 회사채 발행액이 총 169조8142억원으로 전년보다 10.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주식 발행액은 8조8959억원으로 14.1% 감소했고, 회사채 발행액은 160조9183억원으로 11.7% 증가했다.주식 발행의 감소는 기업공개(IPO)가 중소형주 위주로 이뤄진 탓이 크다. 지난해 IPO 실적은 2조3149억원으로 전년보다 60.7% 감소했다. IPO 건수는 2017년 77건에서 지난해 95건으로 증가했지만 대형 IPO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실제 2017년에는 넷마블게임즈(2조6617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1조88억원) 등 대형 IPO가 적지 않았지만 지난해는 티웨이항공(1435억원), 애경산업(1397억원) 등이 그나마 큰 편에 속했으며 1조원을 넘는 IPO는 전무했다.다만, 유상증자 규모는 6조5810억원으로 전년보다 47.3% 늘었다. 삼성중공업(1조4000억원)과 현대중공업(1조2000억원) 등 대형 조선사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벌인 유상증자 규모가 큰 편이었다.회사채 발행의 증가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국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자금조달에 나선 영향이 크다.회사채 종류별로 보면 금융채가 109조1299억원으로 전년보다 12.8% 늘었고 일반회사채(35조6590억원)와 자산유동화증권(ABS)(16조1294억원)은 각각 10.5%, 7.5% 늘었다.금융채의 경우 금융지주채(8조2050억원)와 증권사·신용카드사 등의 기타금융채(63조5790억원)는 전년보다 33.8%, 19.3% 각각 늘었고 은행채(37조3459억원)는 0.1% 증가에 그쳤다.금융사 중에서는 신한은행(11조4583억원), 하나은행(8조2652억원), 국민은행(8조897억원), 신한카드(5조100억원), 현대캐피탈(4조8500억원), 우리은행(4조8174억원) 등의 발행 규모가 컸다.지난해 말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485조2731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9.8% 늘었다. 지난해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 발행액은 1471조2155억원으로 전년보다 6.9% 늘었다. CP가 353조6994억원으로 15.4% 늘었고, 전자단기사채는 1117조5161억원으로 4.5% 증가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30 15:33 이정윤 기자

예탁원, 지난해 증시관련대금 3경8992조…전년比 13%↑

(자료=예탁결제원)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예탁원을 통해 처리된 연간 증시 관련 대금이 3경8992조원으로 전년(3경4469조원)보다 13.1%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일평균 증시관련 대금은 약 160조원으로, 최근 5년간 2.2배 늘었다.증시관련 대금은 자본시장에서 종합증권서비스를 제공하는 예탁원의 업무를 통해 처리된 자금을 말한다. 주식·채권 매매에 따른 결제대금, 예탁채권 원리금, 예탁주식의 배당금 권리대금 등이 포함된다.대금 종류별로는 주식·채권 등의 매매결제대금이 3경4956조원(89.6%)으로 가장 많고 예탁증권원리금 2872조원(7.4%), 집합투자증권대금 834조원(2.1%) 등이다.매매결제대금의 구성을 보면 장외 환매조건부채권(Repo)결제대금(2경9687조원)이 84.9%를 차지했고 채권기관결제대금(4093조원), 주식기관결제대금(656조원), 장내채권결제대금(381조원), 장내주식결제대금(139조원) 등 순이다.예탁원은 “매년 장외 Repo결제대금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장외 Repo거래가 콜거래의 대체재 역할을 함으로써 증권사의 단기자금조달 수단으로 정착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지난해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유동성 축소 우려 확산 등 비교적 부정적인 대외 환경에도 불구하고 주식기관결제대금 및 장내주식결제대금을 포함한 주식관련대금은 795조원으로 전년대비 0.6% 증가했다. 채권관련 대금은 4474조원으로 전년대비 0.3% 증가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30 10:47 이정윤 기자

금융위, 코넥스 활성화…개인 예탁금 1억→3000만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30일 오전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청년, 상장의 꿈, 성장의 꿈’이라는 주제로 열린 코넥스 토크 콘서트에서 코넥스 활성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초기 중소기업을 위한 제3의 상장 주식시장인 코넥스 시장의 투자 장벽이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코넥스 시장의 일반 투자자 기본예탁금이 1억원에서 3000만원으로 낮아질뿐만 아니라 코넥스 기업에 대해 새로 크라우드펀딩과 소액공모가 허용되고, 코스닥 이전상장을 유도하는 장치도 강화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30일 오전 중구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코넥스 상장사 및 상장 예비기업 등과 토크콘서트를 갖고 지난해 11월 발표한 자본시장 혁신과제의 후속 조치로 코넥스시장 활성화 방안 세부내용을 발표했다.우선 일반 투자자의 기본예탁금 기준을 현행 1억원에서 3000만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기본예탁금은 벤처·중소기업 주식시장의 특성상 투자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코넥스 시장의 개인 투자자 보호 장치이자 진입 장벽으로, 애초에는 3억원이었다가 2015년 7월 1억원으로 한차례 하향 조정됐다. 전문투자자는 예탁금 없이 코넥스 시장에 투자할 수 있다.또한, 금융위는 코넥스 시장의 유통주식 확대를 위해 코넥스 기업에 대해 상장 1년 후 주식 5% 이상을 분산하는 의무를 부여할 방침이다. 투자자의 대규모 거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시간외 대량매매에 적용되는 가격제한폭은 ±15%에서 ±30%로 확대한다.아울러 금융위는 코넥스 기업의 자금조달 편의성 제고를 위해 크라우드펀딩과 소액공모를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공모나 소액공모 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지 않은 코넥스 기업은 상장 후 3년 동안 크라우드펀딩을 할 수 있다.또 개편 작업이 진행 중인 소액공모 제도가 코넥스 기업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소액공모 제도란 기업이 일정 규모 이하로 자금을 조달할 때 증권신고서 대신 간소화된 서류 제출만으로 자금모집을 허용하는 것이다.금융위는 코넥스 기업의 외부감사 부담은 낮추고 이전상장이나 신주 가격 결정 등과 관련된 규제는 한층 더 완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정자문인 추천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코넥스 기업은 재무 부실 상태에 빠지더라도 외부감사인 지정이 면제된다. 또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코넥스 기업에는 별도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코넥스 기업의 신속 이전상장 때에는 기업 계속성 심사가 면제되고 특히 경영과 지배구조가 안정된 기업은 경영 안정성 심사도 추가로 면제된다. 또 이익 미실현 기업 중 시장평가가 우수하고 지분 분산도가 양호한 기업도 신속 이전상장을 허용하기로 했다.신속 이전상장은 코넥스 기업의 코스닥 이전상장을 돕기 위해 상장 1년 경과, 지정자문인 추천 등 일정 요건을 갖추면 코스닥 이전상장 심사 때 완화된 요건을 적용하고 심사 기간도 줄여주는 일종의 패스트 트랙 제도다. 금융위는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양호한 신속 이전 상장 기업은 상장심사 때 회계감리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2013년 7월 코넥스 시장이 개설된 뒤 그동안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은 44개사이며 코넥스 상장 후 코스닥으로 옮기기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약 2년이었다.금융위는 이처럼 규제를 완화하는 대신 코넥스 시장의 투자자 보호 체계는 일부 강화하기로 했다. 기업 손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수시공시 항목을 29개에서 35개로 확대하고 코스닥 시장처럼 해명공시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아울러 지정자문인 선임 면제 기간을 상장 후 2~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고 부실기업 상장을 주관한 증권사의 지정자문인 자격 정지 기간은 최대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대신 증권사 기업금융 부서도 자문해준 코넥스기업에 대한 투자를 허용하기로 했다.코넥스 시장은 개설 당시 5000억원이던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 현재 6조3000억원으로 13.3배로 커졌고 상장사는 21곳에서 153곳으로 늘었다. 153곳의 코넥스 기업을 영역별로 나눠보면 정보기술(IT)이 48곳으로 가장 많고 바이오기업(39곳), 금속·화학(15개) 등 순이다. 코넥스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시장 개설 당시인 2013년 3억9000만원에서 지난해 48억원으로 크게 늘었다.(자료=금융위원회)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30 10:36 이정윤 기자

증선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재 집행정지에 즉시항고장 제출

(사진=금융위원회)증권선물위원회는 30일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부정 제재에 대한 법원의 집행정지 인용 결정에 대해 즉시항고장을 제출한다고 29일 밝혔다.증선위는 “제재 대상인 위법행위는 회사의 향후 재무제표에도 지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재무제표가 올바르게 시정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 등 이해 관계자가 상당 기간 잘못된 정보에 근거해 투자 등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이어 “집행정지 시 회사의 회계부정에 책임이 있는 회계법인이 향후 계속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외부감사 업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투자자 등이 재무제표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또 “증선위 조치에 따른 기업 이미지 손상은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 또는 긴급한 예방이 필요한 사안으로 보기 어려우며 회사가 주장하는 대표이사 등의 해임으로 인한 심각한 경영위기 가능성도 타당성이 낮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증선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제재 결정과 관련해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금융감독원 조치안을 심의하면서 국제회계기준과 회사의 특수성 및 객관적 증거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증선위는 “가처분 및 본안 소송에서 행정처분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앞서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증선위를 상대로 제기한 회계부정 제재에 대한 집행정지 가처분신청을 인용했다. 이에 따라 재무제표 시정요구, 3년간 증선위 지정 감사인 선임, 대표이사 해임권고 등 증선위 제재의 효력이 정지됐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9 17:13 이정윤 기자

지난해 유상증자 건수 늘고, 금액 줄고

지난해 유상증자 건수는 크게 늘어난 반면 금액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18년 발행회사의 유상증자는 총 1257건, 금액은 23조448억원으로 전년대비 건수는 27.4% 증가하고 금액은 0.7% 감소했다.시장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시장 유상증자는 110건, 금액은 12조5659억원이다. 코스닥은 434건, 6조579억원이다. 코넥스는 97건, 2859억원이다. 비상장사(K-OTC, 예탁지정법인)는 616건, 4조1351억원이다.예탁원은 “2017년 대비 2018년에 상장법인의 경우 건수 자금조달액이 늘어났으나, 비상장법인의 유상증자 건수는 증가한 반면 자금조달액은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2018년 발행회사의 무상증자는 총 129건, 금액은 9조1017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4.9%, 11.3% 증가했다. 이는 상장기업의 경우 시가, 비상장기업의 경우 액면가를 기준으로 한 수치다. 시장별로 유가증권시장 무상증자는 19건, 금액은 2조9442억원이다. 코스닥은 62건, 5조3380억원이다. 코넥스는 9건, 6984억원이다. 비상장사는 39건, 1211억원이다.유상증자금액 규모가 가장 컸던 회사는 삼성중공업(1조4088억원)이었으며, 현대중공업(1조2350억원), 카카오(1조658억원), 비지에프(9299억원), 미래에셋대우(7000억원)가 뒤를 이었다. 무상증자금액 규모가 가장 큰 회사는 현대미포조선으로 신주 상장일 종가 기준 1조1586억원(1994만주)를 발행했다. 이어 현대건설기계(4170억원), 코오롱생명과학(4151억원), 아미코젠(3435억원), 화승엔터프라이즈(3314억원) 순이었다. 전체 유상 증자금액을 배정방식별로 구분하면 주주배정 6조3958억원(27.7%), 일반공모 6조1904억원(26.9%), 제3자배정 10조4586억원(45.4%)으로 제3자배정 방식을 통해 가장 많은 금액을 조달했다. 무상증자 재원 중 주식발행초과금이 총 123건으로 전체 대상회사의 95.3%를 차지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8 15:53 이정윤 기자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담보금 6조원…전년比 27.9%↑

(자료=예탁결제원)장외파생상품거래 담보 관리금액이 1년 새 28%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장외파생상품거래에 대한 담보관리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 6조352억원으로 전년 말(4조7188억원)보다 27.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담보 유형별로는 채권이 5조8303억원(96.6%)으로 가장 많고, 상장주식(2.2%)과 현금(1.2%)이 그 뒤를 이었다.채권의 경우 국고채와 통안채가 각각 4조5586억원(78.2%)과 1조690억원(18.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증거금 관리액은 5231억원으로 전년 말(726억원)보다 620.5% 증가했다.이 가운데 개시증거금이 4532억원이고 변동증거금은 699억원이었다. 개시증거금은 모두 국고채가 사용됐다. 변동증거금은 국고채와 통안채가 각각 379억원(54.2%), 320억원(45.8%) 사용됐다.장외파생상품 거래는 거래소 없이 당사자 간 일대일 계약으로 체결된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일컫는다. 장외옵션과 스와프, 선도거래 등이 있다. 비청산 장외파생상품 거래는 중앙청산소에서 청산되지 않는 모든 장외파생상품 거래다.예탁원은 “증거금 의무교환 대상 기관이 단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향후 예탁원을 통한 증거금 관리 규모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5 15:07 이정윤 기자

증선위, 지난해 불공정거래 제재 104건

(사진=금융위원회)#A사 사주이자 회장인 B씨는 회사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하고서 해당 정보가 공개되기 전 지인 8명의 19개 차명계좌로 보유 중이던 자사 주식 345만주를 미리 팔아 54억원 상당의 주가 하락 손실을 피했다.#유명 주식카페 운영자인 C씨는 비상장사의 주식을 대량 매입한 뒤 강의를 통해 해당 회사가 조만간 상장될 것이라며 허위사실을 유포해 투자자들의 매수를 유인했고 결국 매수 가격보다 260배 높은 가격으로 주식을 팔아 수십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사건 등을 비롯해 지난해 증권선물위원회를 통해 총 104건의 불공정거래를 조치했다고 24일 밝혔다.유형별로는 미공개정보 이용 32건, 사기적 부정거래 15건, 시세조종(주가조작) 12건, 보고의무 위반 등 기타 45건이다.최근 5년간 증선위 제재 건수는 시세조종을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줄었으나 미공개정보 이용은 소폭 늘었다. 연도별 불공정거래 행위 제재 건수를 보면 2013년 125건, 2014년 119건, 2015년 123건, 2016년 119건, 2017년 103건 등이다.이 가운데 시세조종은 2013년 33건에서 지난해 12건으로 63.6% 줄었다. 같은 기간 부정거래와 보고의무 위반 등도 2건씩 감소했다. 반면 미공개정보 이용은 2013년 28건에서 지난해 32건으로 4건(14.3%) 늘었다.금융위는 “지난해 4분기에는 대규모 유상증자 등 미공개 중요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상장사 최대주주와 임원, 관련 전문가 집단 종사자가 연루된 불공정거래 사건을 집중적으로 조사해 처리했다”고 설명했다.금융당국은 올해도 주식 불공정거래 행위를 신속하게 조사해 엄중 제재·조치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는 “수사당국과의 공조도 더욱 탄탄히 해 자본시장 거래질서를 바로 세우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4 14:53 이정윤 기자

지난해 예탁원 통한 역외펀드 순자산총액 5조3100억…전년比 68.4%↑

(자료=예탁결제원)23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외국펀드투자지원서비스’를 통해 국내 재간접펀드가 투자한 역외펀드 순자산 총액이 지난해 말 기준 5조3083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2012년 10월 외국펀드투자지원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이 서비스를 이용한 역외펀드 투자는 2014년 5944억원, 2015년 8811억원, 2016년 1조6378억원, 2017년 3조1518억원 등으로 최근 5년간 평균 73.8%씩 증가했다.국내 재간접펀드가 투자한 전체 역외펀드 순자산 총액 중 외국펀드투자지원서비스를 통한 금액의 비중은 2016년 말 6.5%에서 지난해 말 12.0%로 증가했다.외국펀드투자지원서비스는 국내펀드가 외국에서 설정된 역외펀드에 재간접펀드 형태로 투자할 시 지원하는 서비스다. 예탁원은 금융회사의 해외펀드 투자에 수반되는 매매주문, 잔고관리, 권리관리 등 후선업무 일체를 글로벌펀드플랫폼과 연계해 표준화·자동화된 방식으로 종합 지원하고 있다.기존에는 국내 금융회사와 현지 펀드 운용사 및 명부관리기관(Transfer Agent) 간 업무 처리가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한 수작업 위주로 이뤄져 번거롭고 운영 리스크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됐다.예탁원은 “외국펀드투자지원서비스 도입 초기에는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에 지급하는 수수료 부담과 기존 업무 처리방식 변경에 따른 업무 부담 등으로 이용률이 저조했으나 최근 서비스 이용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서비스를 통해 가장 많이 투자된 역외펀드는 유럽에서 설정된 개방형 공모펀드 ‘UCITS 펀드’였다.예탁원은 올해 안에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일본, 태국, 호주 등이 참가하는 ‘ARFP’(Asia Region Fund Passport)가 실행되면 기존의 UCITS 펀드 중심에서 호주, 일본 등으로 투자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3 16:14 이정윤 기자

법원, 고의 분식회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재 중단…‘체면 구긴’ 김용범

김용범 증권선물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고의 회계 분식’ 외혹의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법원이 제재 효력 정지 결정을 내리면서 김용범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5명 증선위원의 입장이 난처하게 됐다. 이번 판결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한숨 돌리게 된 반면, 증선위는 향후 대응방안 찾기에 급급하다.22일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재판장 박성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금융위 산하 증선위를 상대로 낸 집행정지를 인용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입을)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급하게 금융당국 처분을 중단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이어 “금융당국 처분이 효력 정지된다고 해도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고, 금융당국 처분의 적법성에 관한 본안 소송도 다퉈볼 이유가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이에 따라 증선위 제재는 삼성바이오가 제기한 행정 소송의 결과가 나온 이후 30일이 되는 날까지 효력이 중단된다.이날 증선위는 “법원 결정의 내용을 살펴본 뒤, 즉시항고 여부 등 대응방안을 검토하겠다”며 “별도로 본안소송 준비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법원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손을 들어주면서 증선위의 힘이 빠진 것이 사실이다.증선위는 김용범 위원장과 김학수 위원 정부 측 위원 2명과 조성욱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박재환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이상복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간위원 3명, 총 5명으로 구성돼 있다.앞서 지난해 11월 증선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고의 분식회계로 결론내기까지 반년 시간이 걸렸다. 과정이 생각보다 길어지자 시가총액 상위권인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등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애꿎은 소액주주들만 피해를 봤다는 지적도 나왔다.이후, 증선위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고의분식으로 결론을 내리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 거래는 즉시 정지되고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오르게 됐다. 하지만 거래소의 기업 지속성 판단으로 한 달도 되지 않아 거래가 재개됐다.거래가 재개되기 전부터 증권사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매수 리포트를 쏟아냈고, 거래 재개 직후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사실상 증선위의 판단이 시장에 전혀 영향력을 끼치지 못한 것이다.거래 재개로 인해 증선위와 한국거래소는 고의적 분식회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잘못을 제대로 응징하지 못하고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금융시장 투명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위 ‘대마불사’ 논리에 한층 힘을 실어주게 됐다는 비판을 거세게 받기도 했다.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법원의 인용 결정에 환영하며 남아있는 본안 소송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인용이 결정돼 다행”이라며 “본안 소송에서도 회계처리의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2 17:15 이정윤 기자

지난해 펀드 이익배당금 18조2000억원…공모·사모 격차 심화

(자료=예탁결제원)지난해 지급된 펀드 이익배당금이 18조원을 넘어섰지만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는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21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펀드 이익배당금은 18조2472억원으로 전년보다 17.7% 증가했다. 전체 1만4789개 펀드 가운데 48.0%인 7106개 펀드가 운용성과에 따른 이익배당금을 지급했다.공모펀드는 3조3678억원을 지급해 전년보다 8.6% 감소했으나, 사모펀드는 14조8794억원을 지급해 25.9% 증가했다.예탁원은 “사모펀드는 규제 완화와 특별자산·부동산 펀드의 성장 덕분에 이익배당금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그러나 공모펀드는 성과 부진으로 3년간 정체 상태”라고 설명했다.이익배당금 지급액 중 재투자 금액은 8조7256억원으로 전체 이익배당금의 47.8%를 차지했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재투자율은 각각 70.4%(2조3719억원), 42.7%(6조3537억원)로 집계됐다.지난해 청산된 펀드는 6155개이며 52조4906억원의 청산분배금이 지급됐다. 청산된 펀드는 사모펀드가 5408개(87.9%)에 청산분배금 49조9098억원(95.1%) 규모로 대부분을 차지했다.신규 펀드는 1만361개였고 설정 금액은 122조2078억원이었다. 공모펀드가 17조9999억원(14.7%), 사모펀드가 104조2079억원(85.3%) 각각 설정됐다.예탁원은 “최근 증권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주식형 및 주식혼합형 펀드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공모펀드 설정액이 전년 대비 10.3%가량 감소했다”고 설명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1 14:32 이정윤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 “中企 전문 투자중개사·개인 전문투자자 확대”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6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서울창업허브에서 열린 ‘Fintech, 금융이 바뀐다’ 핀테크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주된 업무로 하는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가 도입된다. 또한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를 위해 개인 전문투자자 요건도 개선돼 현재 2000여명 수준인 개인 전문투자자가 약 36만~38만명까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오전 인천 검단산업단지 내 전자칠판·전자교탁 생산 중소기업인 아하정보통신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 혁신과제 후속 조치를 발표했다.이는 금융위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자본시장 혁신과제’ 12개 중 ‘개인 전문투자자 진입 요건 개선방안’과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 도입방안’을 구체화한 것이다.이날 최 위원장은 “우리경제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자금을 적재적소에 배분하는 금융 본연의 기능을 통해 생산적 분야로 자금이 흐를 수 있게 해야 한다”며 “혁신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믿고 필요한 자금을 과감히 공급할 수 있는 투자자의 역할과 확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는 혁신기업과 전문투자자, 그리고 기존 자본시장 플레이어를 연결해주는 실핏줄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전문투자자 확대는 모험자본 공급자 역할 강화와 함께 새로운 투자기회 제공 등 국민 자산증식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인 전문투자자 개선 방안  (자료=금융위원회)우선 금융위는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할 전문 투자자군을 육성하기 위해 개인 전문투자자의 진입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개인 전문투자자의 금융투자잔고 기준은 현행 ‘5억원 이상’에서 ‘초저위험 상품을 제외한 5000만원 이상’으로 완화된다. 초저위험 상품에는 국고채와 머니마켓펀드(MMF) 등이 해당한다. 또 1억원인 현 소득 기준에 ‘부부합산 1억5000만원’이 추가되고 10억원 이상인 현 재산 기준은 ‘주거 중인 주택을 제외한 총자산 5억원 이상’으로 바뀐다.금융위는 투자 회수 기간이 길고 투자 위험도도 높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투자자군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 진입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개인 전문투자자는 투자 시 금융투자사의 설명의무에 따른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에 금융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개인은 잔고 기준(5000만원)만 채우면 전문투자자로 인정하는 방식도 신설된다.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등 국가공인자격증 보유자와 금융투자회사 임직원 중 관련 직무 종사자 등이 대상이다.금융위는 이번 기준 완화로 개인 전문투자자가 현 2000여명 수준에서 약 37만~39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득·자산요건 충족자 15만~17만명, 금융 관련 전문지식 보유자 22만명 등이다.◇ 개인 전문투자자 확대 효과 추정 (자료=금융위원회)그동안 금융투자협회를 방문해야 했던 개인 전문투자자의 등록절차도 금융투자회사 등록으로 간소화된다. 다만, 증권사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개인을 전문투자자로 등록하면 불건전 영업행위로 제재하는 등 사후 규제는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문투자자 관련 불건전행위에 대한 과태료가 신설된다. 금융위는 이런 내용을 연내 시행하고자 이달 중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할 계획이다.아울러 금융위는 중소·벤처기업에 모험자본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설하는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의 진입 요건을 기존 투자중개회사(증권사)보다 훨씬 낮춰 제시했다.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사는 인가를 받을 필요 없이 등록만으로 영업을 할 수 있고 자기자본은 투자중개업 자본금 최저 수준인 5억원이 적용된다. 인력도 투자 권유자문 1명, 내부통제인원 1명 등 최소 2명 이상이면 된다.업무는 사모발행 증권 중개와 비상장 증권 중개 업무를 주요 업무로 하되, 증권신고서 작성 지원, 구조조정 자문, 인수합병(MA) 가치평가 등도 할 수 있다. 영업용순자본비율(NCR), 레버리지비율, 유동성비율 등의 규제는 적용하지 않는다. 대주주 변경 시에는 2주 이내에 사후 보고하면 되고 준법감사인과 위험관리인 선임의무도 배제된다. 다만 이용 대상자는 전문투자자로 제한된다.금융위는 올해 1분기에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해 연내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가 나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21 10:42 이정윤 기자

지난해 ELS 발행액 86조 6000억…‘사상 최고’

(자료=예탁결제원)지난해 파생결합사채(ELB)를 포함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금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18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ELB를 포함한 ELS 발행액은 86조 62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ELS 발행 규모는 2016년 49조 4116억 원에서 2017년 81조 1156억 원으로 64.2%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 더 늘면서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예탁원은 “국내외 증시 변동성 확대로 중 위험·중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발행 형태별로 보면 공모가 73조 2029억 원으로 전년보다 14.4% 늘었고, 사모는 13조 4174억 원으로 21.7% 줄었다.기초자산별로는 유로스톡스50을 기초자산으로 한 ELS 발행액이 57조 9244억 원으로 가장 많고 HSCEI지수(49조 8155억 원), SP500지수(40조 2964억 원), 코스피200지수(35조 1807억 원) 등의 순이었다.증권사별 발행 규모는 미래에셋대우(14조 1413억 원)가 가장 많고 NH투자증권(9조 7871억 원), 한국투자증권(9조 7222억 원), KB증권(9조 6929억 원), 삼성증권(9조 1568억 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5개 증권사의 총 발행액은 52조 5003억 원으로 전체의 60.6%를 차지했다.상환액은 69조 738억 원으로 전년보다 27.3% 감소했다. 상환액의 감소는 국내외 주요 지수가 크게 하락해 일부 ELS가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47조 3760억 원 규모이고 만기상환과 중도상환은 각각 20조 1266억 원, 1조 5712억 원이었다. 이에 따라 작년 말 현재 ELS 미상환 잔액은 1년 전보다 32.1% 증가한 72조 8947억 원으로 집계됐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18 14:32 이정윤 기자

지난해 K-OTC 일평균 거래대금 28억…1년새 2.6배↑

(자료=금융투자협회)지난해 한국장외주식시장(K-OTC)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1년새 약 2.6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세 면제대상 확대에 따라 K-OT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영향이다.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K-OTC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7억7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10억9000만원의 약 2.55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K-OTC 시장은 지난해 7월 처음으로 하루 거래대금이 100억원을 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누적 거래대금도 2017년 말 8504억원에서 작년 말 1조5259억원으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K-OTC의 누적 거래대금은 2014년 8월 개설 이후 약 2년 만인 2016년 7월에 5000억원을 넘은 데 이어 지난해 3월 1조원, 작년 말 1조5000억원을 각각 돌파했다.금투협은 “지난해 1월 소액주주에 대한 양도세 면제가 확대된 이후 중소·벤처 기업을 중심으로 거래가 활발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항목별로는 중소·벤처기업이 4350억원을 거래해 전체 거래대금(6755억원)의 64.4%를 차지했고 중견기업은 1440억원(21.3%) 거래됐다.K-OTC 시장의 작년 말 시가총액은 14조4914억원으로 1년 전보다 3377억원 불어났다. 시장이 개설된 해인 2014년 말의 12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1조7794억원이 늘었다.지난해 말 기준 K-OTC 기업 수는 총 126개사였다. 등록기업이 32개사, 지정기업은 94개사다. 지난해 18개사가 새로 등록·지정됐는데 이는 전년(6개사)의 3배 수준이다.종목별로는 포스코건설(1조3000억원)의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크고 SK건설(9848억원), 현대아산(9239억원), 삼성메디슨(8167억원), 세메스(9915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연간 거래대금은 비보존(2140억원), 지누스(1087억원), 와이디생명과학(721억원), 삼성메디슨(496억원), 아리바이오(483억원) 순으로 컸다.한편, 지난해 K-OTC에서는 카페24와 파워넷 등 2개 종목이 코스닥시장으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K-OTC 출범 이후 이 시장을 거쳐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종목은 모두 9개사로 늘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16 14:43 이정윤 기자

지난해 상호변경 상장사 80개사…전년比 24.5%↓

(자료=예탁결제원)지난해 상호변경 상장사가 전년보다 25%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6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를 변경한 상장회사는 80개사로 전년보다 24.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이 중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는 25개사로 전년(29개사)보다 13.8% 줄었고, 코스닥 상장사는 55개사로 전년(77개사)보다 28.6% 감소했다.상호변경은 회사 영업활동의 강화, 회사이미지 개선 등을 위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상호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변경은 정관변경 사항으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요하며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본점소재지에서는 2주 내, 지점소재지에서는 3주 내에 상호변경 등기해야 한다.상호변경 사유는 회사 이미지 개선 또는 브랜드가치 제고(40%)가 가장 많았고 회사분할·합병(25%), 사업 다각화(21%), 지주회사체제 전환(5%), CI 통합(4%) 등의 순이었다.회사별로 살펴보면 현대차투자증권(변경 후 현대차증권) 등 32개사가 회사 이미지 개선 또는 브랜드가치 제고를 위해 상호를 변경했다. 또 두산엔진(HSD엔진) 등 20개사는 회사분할 ·합병, 넷마블게임즈(넷마블) 등 17개사는 사업 다각화를 이유로 각각 상호를 변경했다.최근 5년간 상호변경 상장사 수는 2014년 68개사에서 2015년 98개사, 2016년 99개사, 2017년 106개사로 증가하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16 13:49 이정윤 기자

국채·특수채 잔액 증가 폭 4년째 감소…세수 풍년 영향

(사진=게티이미지뱅크)‘나라빚’인 국채·특수채의 발행잔액 증가 폭이 4년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수 풍년과 공공기관 자산 구조조정 등으로 국채와 특수채 발행이 감소한 영향이다.16일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정부가 발행한 국채와 공공기관이 발행한 특수채의 발행잔액 합계는 969조1969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5조9482억원(1.7%) 늘었다. 국채는 640조757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5290억원 늘었고, 특수채는 328조4393억원으로 9조5807억원 줄었다.이에 따라 국채와 특수채의 발행잔액 증가액은 2015년 연간 78조5429억원(9.8%)을 정점으로 2016년 38조2487억원(4.3%), 2017년 35조4817억원(3.9%) 등으로 4년 연속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특히, 지난해 국채와 특수채의 발행잔액 증가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는 최저 수준이다. 국채와 특수채의 발행잔액 증가 규모가 이처럼 둔화한 것은 연간 발행 규모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국채의 경우 연도별 발행액은 2015년 163조원에서 2016년 138조원, 2017년 123조원, 2018년 115조원 등으로 감소했다. 국채 발행의 감소는 세수 풍년의 영향이 크다. 정부 예상보다 세금이 더 걷혀 국채를 찍어 자금을 조달할 필요성이 줄었다는 말이다.기획재정부가 최근 펴낸 ‘월간 재정동향 1월호’를 보면 지난해 1∼11월 국세 수입은 279조9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조원 늘었다. 이미 정부의 연간 목표액을 넘어섰다.국채 상환 규모는 큰 변화가 없었다. 지난해 국채 상환액은 89조3040억원으로 전년(89조960억원)과 거의 비슷하다.이는 정부의 자금 비축 때문으로 보인다. 세수 풍년으로 자금에 여유가 있어 국가 부채를 상환할 수도 있지만, 자금을 비축해 놓으면 향후 자금이 필요할 때 적자 국채를 찍어낼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국채 발행을 확대하면 금리 상승 부담도 있다.한편, 특수채의 경우에는 지난해 발행액(55조9009억원)보다 상환액(65조4816억원)이 더 컸다. 발행액에서 상환액을 뺀 순발행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4년(-18조7223억원) 이후 4년 만이다. 특수채 발행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째 줄었고 상환액은 2016년부터 증가했다.특수채 순발행액은 4대강 사업 등을 추진한 2010년에는 50조원까지 커졌지만 공공기관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특수채 발행은 줄고 상환 규모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16 09:02 이정윤 기자

[종합] 금투업계·여당 첫 상견례…증권거래세 개편 물꼬 트나

권용원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1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계 현장방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금융투자업계와 여당 대표가 첫 회동을 갖게 되면서 그간 지지부진했던 증권거래세 개편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가 강조한 증권거래세 폐지 요청에 여당이 귀 기울이자 이와 관련된 법안 정비를 위한 당정간 논의가 본격화 할 전망이다.금융투자협회는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투빌딩에서 ‘더불어민주당 대표, 금융투자업계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여당 대표가 금융투자업계와 처음으로 가진 간담회다.이날 간담회에서 금투업계는 특히 증권거래세 폐지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세제개편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권 회장은 “증권거래세의 폐지 내지는 단계적 인하가 필요하다“면서 ”손실이 발생해도 세금이 부과되고 대주주에게는 양도소득세까지 이중과세되는 문제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세형평성, 조세중립성, 글로벌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해 자본시장 과세체계의 종합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이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자본시장 세제 이슈가 정치권에서 본격적으로 거론된 적이 없다는 얘기를 들으면서 이제는 자본시장 세제개편을 공론화할 시점이라고 느꼈다”고 답했다.김태년 정책위의장도 “세제 이슈과 관련해서 거래세 인하·폐지 문제는 당정이 조속히 검토하고 결론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증권거래세는 주식을 팔 때마다 부과되는 세금으로, 투자자는 매도 금액의 0.15~0.3%를 증권거래세로 내야 한다. 한국의 증권거래세율은 세계에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주변 국가인 중국ㆍ홍콩ㆍ태국(0.1%), 대만(0.15%), 싱가포르(0.2%)도 한국보다 낮고 미국과 일본은 아예 폐지했다.권 회장은 “일본, 영국, 미국 등을 볼 때 조세 체계가 간소해 펀드, 주식, 투자, 채권 어디든 투자하던 단일 세율이고 일관되고 이해하기 쉬운 조세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한국의 조세 체계는 상품마다 복잡하고 시장과 투자에 있어 왜곡 현상을 만들어서 시중의 풍부한 자금이 혁신 성장, 국민 자산증대, 노후자금 마련으로 가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계 현장방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그간 업계와 정부, 여당은 증권거래세 폐지·인하에 대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지난해 11월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증권거래세 페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할 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앞서 각종 경제 연구소들도 증권거래세 인하에 한 목소리를 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4일 ‘증권거래세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해외 금융시장보다 높은 국내 증권거래세율이 자본시장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증권거래세 폐지와 관련해 일본의 성공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이와 달리 거래세를 담당하는 기획재정부는 증권거래세 개편에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다. 김병규 기재부 세제실장은 “2022년까지 주식 양도차익 과세를 확대하고 있다”며 “전면과세와 연계해 검토할 사안이기 때문에 당장은 쉽지 않은 과제”라며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여당이 향후 금투업계 대표들과의 만남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증권거래세 개편에 대한 증권가의 기대도 다시 커지고 있다. 김태우 KTB자산운용 대표는 “직접 여당 대표에게 업계의 현안을 전달했다는 점, 여당에서 증권거래세 인하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반응을 보인 점 등 여러 면에서 고무적이었다”고 말했다.한편, 간담회에는 권 회장과 이 대표를 비롯해 김태년 정책위의장, 최운열 자본시장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 유동수 의원, 김병욱 의원 등이 참석했다. 증권업계에선 최현만 미래에셋대우 대표,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 전영묵 삼성자산운용 대표 등 증권사 14개사와 자산운용사 10개사 대표가 참석했다.이정윤 기자 jyoon@viva100.com

2019-01-15 15:43 이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