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바100
연금·보험

새 노인요양연금 하반기 출시… 수혜자 40만명으로 확대

하반기부터 노인장기요양연금 보험상품에 가입해 장기 간병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11만명에서 40만명으로 확대된다. 금융위원회는 9일 보험사에서 판매중인 노인장기요양연금 상품의 장기 간병연금 지급대상을 보험사가 정한 임의 기준에서 보건복지부의 노인장기요양인 1~5등급으로 확대하는 상품을 새롭게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현재 대부분 보험사는 간병보험 등 노인장기요양연금 상품을 팔면서 복지부가 정한 1~2등급과 전문의의 임상치매(CDR) 척도를 장기 간병연금 지급대상기준으로 삼고 있다.노인장기요양인은 혼자서 일상생활이 곤란한 치매, 뇌혈관성 질환, 파킨슨병 등 노인성질환자와 65세 이상 노인을 말하며,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도움이 필요한가에 따라 등급이 나눠진다.현재 복지부의 장기요양수급자는 작년 7월 말 기준 1등급 3만8000명, 2등급 7만2000명, 3등급 16만7000명, 4등급 12만2000명, 5등급 3000명 등이다.이석란 금융위 연금팀장은 “앞으로는 보험 지급기준을 복지부 등급으로 단순화해 쉽게 보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새 상품은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등과 설계작업을 거쳐 하반기 중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정부가 주는 노인장기요양보험금의 1~2배를 지급하는 보험사 노인장기요양연금상품은 올해만 2만7000명이 신규가입하는 등 급속한 노령화 추세에 맞춰 가입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금융위는 이와 함께 당뇨, 고혈압, 암 등 만성·중증질환자 등 건강이 좋지 못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높은 연금액을 제공하는 새 연금상품 출시를 준비중이다. 만성·중증질환자의 경우 건강인에 비해 생존기간이 짧을 수 있어 보험사들이 연금 상품 가입을 기피해 왔다.이 팀장은 “이들 질환자는 고령에 들면 병원비 등 부담이 커지는데도 오래 살기 힘들다는 편견 때문에 연금상품 가입을 꺼려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이에 미리 체계적인 노후준비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상품 설계를 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이 상품은 10년, 15년 등 일정기한만 연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연령, 질환 정도에 따라 연금지급이 개시돼 사망시까지 연금을 계속 받을 수 있다.금융위는 연내 질병별 평균수명 등을 감안해 상품을 준비한 뒤 내년초 이 상품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2-09 13:42 이나리 기자

연금저축 절세법… "기간 늘려 수령액 연 1200만원 넘지 말아야"

2015년 세법개정의 여파가 연금저축에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법을 활용해 연금저축 수령시 세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연금저축은 공적연금 다음으로 대표적인 노후대비 방법 중 하나다. 노후대비와 함께 절세효과까지 있지만 중도해약을 할 경우 높은 수수료를 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연금저축은 가입시 개인의 투자 취향과 재무 상태 등을 따져보고 오래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다면 은퇴 후 노후생활을 책임져줄 연금수령시 세금을 최대한 아끼는 방법은 무엇일까.◇세액공제율 확대 방안 추진연금저축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높아지면 연금저축액 400만원 납입시 최대 66만원까지 돌려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상품에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연 40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액의 13.2%(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액공제가 가능하다.최근 정부가 연금저축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15%로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만약 연금저축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16.5%(지방소득세 포함)로 개정된다면, 연금저축액을 400만원 한도까지 불입한 사람들은 내년 연말정산 때 66만원을 돌려 받을 수 있다.◇연 저축액 1200만원 넘으면 종합과세소득공제와 노후대비 등의 이유로 연금저축을 가입하는 사람들은 많다. 그러나 본인이 받는 연금액에 대해서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을 잘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렇다면 연금액이 얼마일 때 과세대상이 되는 걸까.연금저축은 연 1200만원의 소득이 발생되면 종합과세를 하게 된다. 즉 연 1200만원(월 100만원)의 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수령액의 3.3~5.5%의 연금소득세를 한번 떼고, 연 1200만원이 넘으면 나머지 개인의 임대소득이나 국민연금 등 모든 소득을 종합해서 다시 한번 세금을 계산하게 된다.개정전에는 연 1200만원이 넘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발적 신고대상이라 누락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2015년 개정 후 종합과세대상이 되면서 연 1200만원 이상 연금을 수령할 경우 세금 부담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다만 공적연금 및 의료비 목적의 인출이거나 사망처럼 부득이하게 해지하는 경우는 제외된다.◇수령기간 늘리고 개시시점 조절결국 연금저축의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연금저축 수령기간을 늘리고, 연금개시시점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재무설계 전문가는 “연금수령기간을 늘려 연 1200만원의 소득을 넘지 않도록 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다”며 “연금 개시는 55세부터 가능한데 이때 임대소득이나 근로소득이 있고 거기에 연금수령까지 하게되면 종합과세시 세율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개인의 소득 상황을 고려해서 연금 수령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세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다”고 설명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2-08 17:13 이나리 기자

중산층, 은퇴 후 필요한 소득대체율 71.4%

중산층이 은퇴 후 필요한 소득대체율은 71.4%인 반면 연금소득으로 충당할 수 있는 소득대체율은 22.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강성호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노후준비실태와 필요노후소득, 그리고 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리스크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사적 부문 모두 대처가 안 돼 노후준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보고서에 따르면 OECD 등은 소득대체율의 70% 수준이 적정하다고 제안하고 있지만 국내 소득계층별 필요소득대체율은 저소득층 185.1%, 중산층 71.4%로 추정되고 있다.중산층 이상 노인 가구는 평균적으로 현재의 노후소득으로 필요소득대체율 수준을 충족하고 있는 반면 저소득층은 자신이 현재 얻고 있는 소득의 1.85배를 더 벌어야 한다.중산층의 46.6%도 노후소득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산층 이하에서는 보유중인 소득수준으로는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의미다.강 연구위원은 노후준비를 위한 필요소득 항목으로 연금소득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우려했다.연금소득으로 충당할 수 있는 소득대체율은 빈곤층 40.2%, 중산층 22.3%로, 연금소득만으로 필요소득대체율을 충족하려면 각각 144.9%, 49.1%가 더 확보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강 연구위원은 공적연금 확대의 한계를 고려할 때 사적연금을 통해 추가적인 노후소득 확보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강 연구위원은 “저소득층의 경우 공적연금 가입을 전제로 사적연금에 대한 세제지원 및 보조금 지급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중산층에 대해서는 세액공제율 상향조정, 연금지급보증제도 도입 등 사적연금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보완조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2-05 19:41 이나리 기자

새 경험생명표 4월부터 적용… 종신보험 언제 가입할까

두 자녀를 둔 가장이자 직장인인 김모(39)씨는 최근 정부의 사적연금 활성화 정책을 접한 뒤 개인연금에 관심이 생겼다. 국민연금 기금 고갈 우려도 있지만 국민연금만으로 은퇴 후 소득대체가 어렵다는 생각에서다.금융권에서 개인연금을 알아보던 중 우연히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김씨는 월 100만원씩 10년 만기의 종신보험에 가입한 뒤 60세부터 연금으로 전환해 매달 연금을 수령 받을 계획이었는데 경험생명표가 걸렸다. 3년마다 갱신되는 경험생명표가 연금 전환시점에 적용되는 상품이 있고, 보험 가입시점에 전환되기도 해 연금 수령시 예상 금액이 많이 달랐기 때문이다. 김씨는 어떤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할까? ◇활용 목적 분명히 하기김씨가 60세 전까지는 종신보험으로 보장받다가 그 이후부터 연금으로 전환하려 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과 자립 여부가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연금전환형 종신보험은 자녀가 어려서 사망에 대한 보장이 필요할 때는 사망시 2억~3억원가량을 한꺼번에 받는 종신보험으로 보장을 받다가 자녀들이 독립해 직장을 다녀 특별한 고액 보장이 필요 없게 될 때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그러므로 김 씨는 자녀가 독립하고 은퇴를 맞이하는 60세 이후 연금으로 전환해 살아생전 매달 연금을 지급받아 노후자금을 충당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요즘에 나오는 종신보험은 대부분 연금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험생명표 적용이 가입시점인 경우가 있고, 연금 전환시점인 경우가 있으므로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잘 선택해야 한다.◇가입시점 VS 전환시점김씨처럼 연금 전환을 목적으로 종신형 연금보험에 가입한 경우라면 보험 ‘가입시점’의 경험생명표를 적용받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경험생명표란 보험개발원이 보험가입자의 성별·연령별 사망률과 평균수명 등을 예측해 만들어진 사망 및 생존율 통계로 3년 주기로 변경되는데 고령화로 해마다 평균수명이 늘고 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면 그만큼 연금수령기간도 늘게 되므로 보험사는 고객에게 돌려주는 연간 연금액을 줄이게 된다.죽을 때까지 연금을 받는 종신형 연금보험은 경험생명표가 바뀔 때마다 6~8% 정도 줄어든다.그러므로 종신형 연금보험 가입시 경험생명표를 연금 전환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시’의 경험생명표를 적용하면 기존 종신보험대비 연금 수령액을 좀 더 늘릴 수 있다. 다만 10년, 20년 정해진 기간에 원금과 이자를 받고 끝나는 확정형 연금이나 이자만 받다가 원금은 상속되는 상속형 연금보험은 경험생명표의 영향과는 무관하다.보험업계 관계자는 “종신형 연금보험은 연금 개시 이후 오래 살수록 더 많이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기에 사망하게 되면 연금을 적게 받기 때문에 불리한 측면도 있다”며 “종신형 연금보험에 가입할 계획이라면 가입시점의 경험생명표가 적용되는 상품으로 올해 4월 경험생명표 변경 전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최신 경험생명표 활용하기경험생명표는 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이다. 경험생명표의 변경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게 되면 생존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므로 보험사 입장에서도 보험료를 운용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평균수명이 가장 긴 최신의 경험생명표를 적용받는 것이 사망보험금에 대한 보험료 인하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올해 4월 새 경험생명표가 도입돼 평균수명이 늘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종신보험에 가입할 계획이라면 경험생명표가 변경된 이후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2-03 09:00 이나리 기자

은퇴 앞둔 세대 '개인형퇴직연금'으로 몰린다

저금리·저성장의 장기화로 노후자금 만들기가 어려워지자 절세와 연금이라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개인형퇴직연금(IRP)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은퇴 가속화로 퇴직연금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몇 년 안에 IRP시장이 더 커질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IRP시장의 규모는 지난 2013년 4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6조3000억원으로 2조원 이상 증가했다.IRP는 근로자가 노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입하는 일종의 은퇴준비 통장이다.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근로자가 본인 명의의 개인형 퇴직연금 신탁계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것이다. IRP는 2012년부터 퇴직금을 수령하는 계좌로 직장인 가입이 의무화됐다. 가입기간 중엔 개인 돈을 직접 불입하며 운용해 노후자금에 보태 쓸 수 있어 직장인이 여러모로 친하게 지내야 하는 상품이다.국내 IRP시장 규모 2013년 말 42,401 2014년 1분기 49.063              2분기 49.359              3분기 52,722              4분기 63,379 자료:삼성경제연구소(단위:억원)IRP의 가장 큰 매력은 세제혜택이다. 올해부터 세제 혜택 범위가 늘어나면서 IRP를 단순 퇴직금 수령 용도가 아닌 세테크 목적으로 가입하는 추세다. 기존에 연금계좌 세액공제는 4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했다.하지만 세법개정을 통해 IRP에 추가 300만원을 불입하면 최대 700만원까지 13.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특히 부양가족이 없고 지출이 적어 연말정산 폭탄을 우려하는 고객들에게 활용도가 높다. 만약 연금저축과 IRP까지 가입해 연간 700만원을 불입하면 연말정산시 92만4000원까지 환급 받을 수 있다.주요 고객군인 베이비부머의 은퇴 가속화 속도가 빨라진 것도 IRP 붐의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힌다. 1955~1963년생인 베이비부머 세대는 약 710만명으로 은퇴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은행별로 IRP적립금이 1조원이 넘는 것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시 퇴직IRP를 만들어 퇴직금을 넣어두기 때문이다.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는 2020년까지 IRP시장 규모가 최대 43조7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은행권 관계자는 “IRP가 전체 퇴직연금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까지 미미하나 향후 미국처럼 은퇴자금 마련을 위한 보편화된 저축 수단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조민영 기자 mine8989@viva100.com

2015-01-29 15:29 조민영 기자

개인연금 세액공제 전환후 가입자 70%나 줄었다

연말정산시 세제혜택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개인연금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제도가 중산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5일 정원석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연말정산 논란을 통해 본 연금 저축세제 개선 방향’ 보고서를 통해 연말정산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한 것이 노후대비 측면에서 부정적인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정부는 지난 2013년 연말정산시 고소득층이 저소득층에 비해 더 많은 혜택을 누리는 소득공제의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요 공제 항목의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했다. 이후 개인연금저축의 신계약건수가 2012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13년 1분기 26만7807건에 달했던 개인연금 신계약건수는 2분기 7만8366건으로 급감했다. 그해 4분기에는 12만2187건으로 2012년 4분기 31만4339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1, 2분기도 각각 8만5385건, 9만2563건으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생손보 업계  분기별 개인연금저축 신계약 건수 (단위: 건)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1분기 437,623 267,807 85,385 2분기 177,971 78,366 92,563 3분기 189,738 102,731 117,608 4분기 314,339 122,187 - 주: 2013년 6월 세액공제로 전환계획 발표. 자료: 보험회사 업무보고서. 정원석 연구위원은 “사적기능을 통해 선진국대비 낮은 노후 소득 대체율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했던 정부의 노후보장정책과는 부합하지 않는다”며 “이는 정부가 세제혜택의 형평성과 더불어 노후소득보장 측면을 함께 고려하지 못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세제적격개인연금에 적용하고 있는 12% 공제율은 소득수준별 세율을 감안할 때 낮은 수준이다. 총소득이 5500만원 안팎인 중산층 가구의 경우 일부 소득공제를 감안하더라도 15% 혹은 24%의 한계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이는 중산층 역시 세제적격개인연금 납입액에 대해 최소 3%에서 최대 12%의 세제혜택 감소가 발생하는 것이다.세액공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이전보다 많은 혜택을 받게 되는 저소득계층에 대한 개인연금 가입이 적다는 점이다.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개인연금 가입에 있어 세제혜택에 가장 민감한 소득계층은 총소득 4000만~6000만원의 계층으로 나타났다. 총소득 2000만원 이하의 소득계층은 세제혜택 확대에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특히 4000만~6000만원 소득을 올리는 계층의 연금저축 가입률은 34%로 높지 않은 수준인데, 제도 변화로 인해 개인연금 가입률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이에 보고서는 세제적격 개인연금 상품 세액공제 도입시 연금세제의 노후소득보장 측면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인 노후소득보장 강화를 위해 중산층의 세제혜택이 줄어들지 않는 수준으로 세액공제율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정 연구위원은 “세(稅)부담이 늘지 않는 기준 소득계층인 5500만원 이하 가구의 개인연금에 대한 세제혜택이 줄어들지 않는 수준인 세액공제율 15% 이상을 고려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소득계층별 특성을 감안해 중산층 이하 계층에 높은 수준의 세액공제율을 제공하는 방식의 차등적 공제율 적용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2015-01-25 12:35 유승열 기자

60세이상 실손보험 가입률 17%… 상해보험 위주 가입

우리나라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17%만이 실손보험에 가입하는 등 노후보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보험개발원은 20일 보험통계를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17.0%로 60세 미만 가입률 64.7%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사망·장해·입원·간병 등을 담보하는 생명 및 장기보험의 60세 이상 가입률도 45.7%와 24.5%로, 60세 미만(각각 65%, 62%)보다 크게 낮았다.60세 이상 보험 가입자는 노후에 필요성이 높은 상품(연금, 중대 질병 등)보다는 보험료가 싼 상해보험 위주로 보유하고 있다.성별로는 남자보다 여자의 가입률이 훨씬 낮았다. 60세 이상 실손보험 가입률은 남자는 20.3%인 반면 여자는 14.4%에 불과했다. 장기보험 역시 남자는 30.4%인 것에 비해 여자는 20.0% 남짓이다.40대의 연금보험 보유 비중은 18.8%였으나, 60세 이상은 10.8%로 40대에 비해 8.0%포인트 낮았다. 반면 상해보험 보유 비중은 40대 11.5%에 비해 60세 이상은 24.4%로 12.9%포인트 높았다.60대 이상의 보험 가입률은 낮지만 전체 보험금 수령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보험에 가입한 60세 이상은 의료비 관련 보험 혜택을 60세 미만보다 많이 받았다.전체 보험금 수령자 중 60세 이상 수령자 비중은 생명보험의 경우 2010년 8.8%에서 2013년 11.8%로 늘었고, 같은 기간 장기보험도 4.5%에서 7.8%로 증가했다. 또 60세 이상의 경우 보험 가입자 10만명당 보험금 수령자는 1만1487명으로 60세 미만(1만248명)보다 12%가량 더 많았다. 보험금 수령자 1인당 보험금도 60세 이상은 321만원으로, 60세 미만 1인당 평균(255만원)보다 26% 더 높았다.개발원 관계자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해 대표적인 노후준비 수단인 보험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보험 가입자는 해지 등을 최소화해 노후까지 보험을 보유하고, 신규 가입자는 노후에 필요한 보장을 추가하고 보장 기간도 충분히 설정하는 것이 노후 대비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1-20 13:01 이나리 기자

남편 사후 나홀로 10년…"님아, 나도 국민연금 필요하오"

노후준비를 할 때 남편보다 10년은 더 사는 아내를 위해 국민연금 등 최소한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국민연금공단에서 노후설계 전문강사로 활동하는 이중일 과장은 계간지 ‘국민연금’(2014년 겨울호)에 실은 ‘노후 준비의 기본 원칙’이란 글을 통해 이같이 충고했다.이 글에 따르면 100세 인간이란 뜻의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100세 이상의 장수가 보편화하는 시대가 됐다. 실제 UN의 ‘세계인구고령화’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 100세 이상 인구는 45만명에 달한다. 한국도 2013년 말 기준 100세 이상 인구가 1만4000여명에 이른다.건강하게 장수한다는 것은 축복받은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축복은 안정적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가 뒷받침 돼야만 가능하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길고 긴 여생은 감내하기 힘든 고통이 따른다.이 같은 100세 시대의 장수 위험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의 기대여명은 84.5세로 남성의 77.6세보다 7년가량 더 길다. 거기에 우리나라는 아내가 남편보다 평균 3살가량 나이가 적어 여성은 배우자를 잃고 평균 10년을 더 살아야 한다.그러나 은퇴준비는 남성 위주다. 한국은행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40대 이상 남성 73.5%, 여성 50.3%가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여성의 노후준비가 취약하다는 뜻이다.이 과장은 “10년은 혼자 살아야 하는 아내를 위해 국민연금에 가입하도록 하는 등 최소한의 노후준비를 반드시 해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더불어 노후준비는 재무 하나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건강, 재무, 주거, 여가생활, 일자리, 대인관계 등 6대 영역을 전반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 과장은 “젊을 때는 일 때문에 바쁘고 자녀부양에 힘쓰다 보니 노후준비에 신경 쓸 겨를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가 기관별로 고객 맞춤형 노후준비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국가와 사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1-20 11:46 이나리 기자

결혼생활 5년 이상땐, 이혼시 분할연금 청구 가능

결혼한 여성은 남성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경우가 많다. 특히 이혼이나 남편 사망 시 더욱 그렇다. 여성에게 유용한 연금 상식을 소개한다.우선 이혼시 분할연금을 받을 수 있다.분할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이혼한 경우, 배우자의 노령연금액 가운데 일부분을 나눠 타는 것이다. 부부가 같이 살면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냈던 기간에 해당되는 연금을 절반씩 나눠 탄다.분할연금을 청구하려면 최소 5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해야 한다. 결혼 기간 동안 형성된 연금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다.남편이 먼저 죽는 경우에는 유족연금이 있다. 남편이 종전에 받던 국민연금의 40~60%를 지급한다. 단, 본인의 노령연금과 배우자 사망으로 인한 유족연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아내가 유족연금을 포기하고 본인의 노령연금을 계속 받는 것을 선택하면 자신의 노령연금에 배우자 유족연금의 20%를 추가해 받을 수 있다.기초연금도 있다. 소득 하위 70% 가정의 주부들은 정부로부터 매월 10만~20만원의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국민연금 임의가입 방법도 있다.임의가입을 이용해 10년 이상 연금 보험료를 납입하면 65세 이상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다. 남편만의 연금에 의존하는 것보다 부부가 함께 연금을 탈 수 있다면 훨씬 안락한 노후를 만들 수 있다.이길상 기자 cupper@viva100.com

2015-01-20 09:00 이길상 기자

노령연금 516만원 이하면 부양가족 등록해 공제 가능

기본적으로 소득이 있는 사람은 연말정산시 부양가족에 포함시켜 공제를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부모가 노령연금을 받더라도 연간 소득이 일정수준 이하면 부양가족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16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부모의 ‘연간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이고 만 60세 이상(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는 나이 제한 없음)이면 연말정산 때 기본공제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연간소득금액은 종합소득금액(근로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사업소득금액, 기타소득금액, 이자배당소득금액), 퇴직소득금액, 양도소득금액 등으로 이 모든 소득의 합이 100만원 이하여야 한다.만 60세 이상의 부모가 다른 소득 없고 오직 노령연금을 받는다면 총액(과세대상 연금소득)이 516만원을 넘지 않으면 기본공제자가 될 수 있다.노령연금소득은 연간 연금액 전액에 세금이 매겨지는 게 아니라 350만원을 기본공제로 먼저 빼고, 여기에 다시 40%를 추가 공제해서 과세한다.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비과세소득’으로, 2001년 이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은 ‘제외소득’으로 인정받아 과세대상 연금액에 들어가지 않는다.즉 2002년 1월 1일 이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 총액이 약 516만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연말정산 때 부모를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다.조민영 기자 mine8989@viva100.com

2015-01-16 09:30 조민영 기자

내 아이 보험은 '태아때 든 특약 100세까지'

해가 바뀌고 우리나라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설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사랑하는 자녀나 조카에게 어떤 선물을 할 것인가 고민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장남감이나 인형 등 ‘반짝’ 하는 것보다 좀 더 의미 있는 선물을 찾는다면 보험 선택을 고려해볼 만하다.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건수는 2011년 2만732건, 2012년 2만 2907건, 2013년 2만4312건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 사고가 늘어나는 만큼 보험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그러나 요즘은 태아보험부터 어린이, 청소년보험 등 자녀들을 위한 보험종류도 다양하다. 그래서 내 자녀를 위해 어떤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좋을지 선택이 쉽지 않다.이에 전문가들은 100세만기의 비갱신형 및 특약을 통해 어린이보험부터 성인보험으로 이어가는 보험이 유리하다고 조언한다.◇ 뱃속 태아부터 성인까지 한방에실손의료보험은 엄마의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태아 때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신생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저체중이나 황달 등 태어나서부터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바로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또 특약 담보를 설정해 이어가는 것이 유리하다. 강기원 재무설계 전문가는 “성인이 되고 다시 실손보험을 가입하게 되면 부담보가 잡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어릴 때 가입한 어린이보험을 특약을 통해 이어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비갱신형·100세 보장 필수자녀보험의 경우 비갱신형을 선택하는 것이 미래 보험료 폭탄을 막을 수 있다. 갱신형 담보는 가입 초반에만 보험료가 저렴해서 혜택처럼 느껴지지만 3년, 5년 주기 때마다 20~30%씩 보험료가 인상돼 나중에는 엄청난 보험료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또 100세까지 보장받는 특약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20~30년 정도만 내고 100세까지 보장받는 구조로 설계하는 방법도 있다.강 전문가는 “어린이 실손보험은 7만~8만원대가 많은데 중증 질환 진단금이나 입원비를 줄이면 많게는 2만원까지 보험료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1-13 16:27 이나리 기자

은퇴연금 활성화, 국가·기업 차원 인프라 구축 필요

고령화시대에 접어들면서 미래의 노후소득 대비를 위한 국가·기업 차원의 연금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11일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요국이 연금 인프라 관련 사례 및 과제’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고령화가 급진전되고 있다”며 “노후소득 대비를 위한 연금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금 상품의 다양화, 관리·감독제도 개선 등도 중요하지만 연금과 관련된 인프라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이 연구위원은 우선 연금소득의 필요성에 대해 국가전략 및 기업전략 차원의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영국, 미국, 일본 등 15개 국가는 은퇴교육을 포함한 금융교육을 국가전략 및 기업전략 등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미국 대기업들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사내 은퇴·재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연령대별 맞춤교육과 전문가 활용 등을 통해 은퇴준비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이 연구위원은 “은퇴교육·세미나 등을 받은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은퇴준비를 위한 저축을 시작할 가능성이 3배 높아지고, 실제 교육 이수자 중 48%는 더 많은 은퇴자금을 축적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은퇴세미나는 평균적으로 퇴직연금 가입률을 8%포인트, 기여율을 0.66%포인트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실제 연금관련 캠페인의 대표 성공사례로 꼽히는 아일랜드의 경우 2003년 이래 ‘National Pension Awareness Campaign’을 운영하며 연금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대국민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했다. 그 결과 32%였던 농어촌지역의 연금가입률이 캠페인 전개 5년여 만에 45%로 상승했다.이밖에도 주요 선진국은 개인별 공적·사적연금 관련 정보를 한 곳에서 조회할 수 있는 연금포털을 구축하거나 연금처리고충기구를 설치해 연금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연금가입자 및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 및 이해상충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이 연구위원은 “주요국처럼 국가와 기업 차원에서 은퇴 및 연금 교육이 필요하고, 연금포털을 구축해 국민들이 이를 노후준비에 적절이 활용하도록 틀을 만들어야 한다”며 “또 금융소비자보호기구와는 별도로 연금고충처리기구 설치와 함께 중·장기적으로는 연금과 관련된 통합서비스제공을 전담하는 기구 및 컨트롤타워 조직의 설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1-11 11:05 이나리 기자

은퇴시장 발톱 세우는 은행들

은행들이 은퇴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전투태세에 들어갔다. 고령화·저출산 문제는 물론 소비자들이 자식을 위한 재산관리가 아닌 노후를 위한 준비에 더 중점을 두면서 아직 먹을 것이 많다는 분석에서다.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퇴직연금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비중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말 퇴직연금 적립금 89조337억원 중 은행권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52.23%였다. 이어 보험권이 30.35%(생보 23.56%, 손보 6.79%), 증권 16.88% 등 순이었다.그동안 퇴직연금시장은 보험업계의 독무대였다. 2006년, 2007년 퇴직연금시장에서 보험권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49,96%, 40.3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그러나 이후 퇴직연금시장은 원래 우리의 시장이었다는 듯이 은행권이 빠르게 치고 나갔다. 2009년부터 2012년 말까지 48~49%대의 점유율을 유지하다 2013년 50.92%로 퇴직연금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은행권은 이후 지난해 3월 51.53%, 6월 52.11%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은 개인 고객 대상 은퇴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우선 농협은행은 전국 200개 영업점을 노년층과 50대 은퇴 준비자를 집중적으로 공략할 거점 지점으로 육성하고, 노년층의 재테크 상담과 은퇴 설계를 전담할 ‘시니어 전용 창구’를 운영키로 했다. 창구를 이용하기 어려운 고객들을 위한 ‘시니어 전용 콜센터’도 운영된다.우리은행도 지난해 하반기 은퇴상담 전용창구인 ‘청춘 100세 파트너 라운지’를 100개 거점점포를 중심으로 운영중이며 올해 컨설턴트(100세 파트너) 250명을 영업점에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지난해 8월 IBK평생설계센터를 출범해 210명의 컨설턴트(평생플래너)를 배치한 기업은행은 올해 200명을 증원할 계획이다. 신한은행도 은퇴전용 상담창구인 미래설계센터를 전국 255개 영업점에서 325개로 확대했다.이에 대해 금융권은 이미 우리나라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데다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중장년 층은 자녀를 위한 재테크가 아닌 노후를 위한 재테크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시장의 트렌드가 바뀌고 고령화시장이 신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어 이에 발 맞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것이다.한 은행 관계자는 “PB센터에서도 재산증식 및 상속 등이 주를 이뤘다면 현재는 개인의 인생을 더욱 중요시 여기는 분위기 속에 행복한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금융시장 트렌드는 투자·세테크 등 자산관리에서 자녀, 손주를 위한 재산상속으로, 그리고 지금은 노후대비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어 향후 은퇴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 중점을 두는 것”이라고 말했다.최근 연금시장에서도 IRP(개인연금계좌) 인기가 오르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라는 설명이다. 퇴직연금에서 개인형 IRP는 2008년 말 2.2%로 미미했으나 지난해 9월 말 8.1%까지 비중이 늘어났다.금융권 관계자는 “노후대비를 위한 준비도 금융소비자들이 수동적에서 능동적으로 바뀌고 있다”며 “이들에게 더 좋은 상품과 좋은 서비스로 노후준비를 도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면 향후 금융사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2015-01-08 17:37 유승열 기자

100세까지 암 걸릴때마다 '계속받는 암보험' 내게 맞는 상품은?

국내 사망률 1위 암, 치료비용만 수천만원에 달해 치료비 부담은 물론 소득상실로 생계마저 위협당하기 십상이다. 고령화로 100세시대에 진입한 상황에서 노후자금을 챙기는 것만큼 암을 대비한 보험가입도 필수가 됐다. 이제 암은 만성질환이라 불릴 정도로 발생률도 높고 재발률은 25%에 달한다. 7일 보험개발원의 2012년 기준 생명보험 관련 통계에 따르면 고령층으로 갈수록 암 발병률은 높지만 보험 가입률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암 사망자 중 보험금 수급자 비율은 40대와 50대가 각각 67.7%로 가장 높은 반면, 60대는 43.0%, 70대는 18.7%로 낮았다.나이가 들면서 암 발병도 증가하기 때문에 보험을 통해 리스크를 대비할 필요가 커졌지만 실제는 정반대인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실제 나이가 들어 암에 걸린다면 신체적 정신적 고통뿐만 아니라 경제적 고충까지 더해져 이중, 삼중고를 겪을 수밖에 없다.그러므로 개인별 소득수준과 상황에 맞는 암보험을 미리 가입해 두는 것이 미래를 대비해 유리하다. 보험사들은 이에 발 맞춰 횟수에 상관없이 2번, 3번 재발해도 계속 받는 암보험이 등장하는 추세다. 알리안츠생명이 작년 10월 출시한 ‘(무)알리안츠 계속 받는 암보험(갱신형)’은 출시 후 2개월여만에 총 1만2374건이 판매되는 등 소비자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암 발병으로 진단급여금을 받았더라도 2년이 지나면 같은 암은 물론 다른 암까지 보장하고 만기보험금의 일부를 돌려 받는 점이 인기비결로 꼽힌다.조기 발견과 재발률이 높아지는 현 상황에서 횟수에 제한 없이 2년마다 원발암, 전이암, 재발암뿐 아니라 잔존암까지 포함한 재진단암에 대해서 진단급여금을 지급한다. 라이나생명이 내놓은 ‘무배당 계속받는암보장특약(갱신형)’은 생보사 최초로 암 최초 진단 이후 재진단시마다 횟수 제한 없이 계속 보장해 주는 상품이다. 암이 완치되지 않고 남아 있으면 재진단암 보험금을 최소 2년 주기로 반복적으로 보장하며, 특약보험가입금액의 200%까지 연령 차등 없이 최대 3000만원 한도로 보장한다.현대해상의 ‘계속받는 암보험’ 역시 암으로 진단받고 2년 경과 후 암으로 재진단을 받을 때마다 지속적으로 보상한다. 이 상품은 지난해 10월까지 약 37만건, 225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인기고공행진 중이다.그러나 보험전문가들은 계속받는 암보험의 경우 일반 암보험에 비해 보험료가 2배가량 높기 때문에 소득수준과 과거 병력등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입을 모은다.한 재무설계사는 “암 재발률도 늘고 암보험의 보장범위도 축소되는 추세라 암보험에 가입할 때는 보장기간을 가능한 길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특히나 걱정되는 암에 대해 더 큰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암보험에 가입하거나 이에 대한 특약을 추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또 다른 재무설계사는 “젊은 층은 처음 납입한 보험료가 동일 유지되는 비갱신형을 선택하는 것이 갱신형 암보험에 비싸지만 유리하고, 50대 이후 암 발병률이 높은 연령대는 갱신형 암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더 낫다”고 설명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5-01-07 14:29 이나리 기자

60세 이상 암 사망자, 10명 중 7명 생명보험 가입 안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 중 암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10명 중 7명은 생명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령층 암 사망자는 보험금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생명보험 가입자 중 암 사망자는 2만3000여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암 사망자(7만3000여명)의 31.5%를 차지했다.이들 가운데 60세 이상 암 사망자가 지급받은 암 관련 보험금은 1인 평균 2800만원으로, 60세 미만(8900만원)의 31.4% 수준이었다.연령별로 20~40대 암 사망자는 각각 1인당 평균 1억원이 넘는 보험금을 받았으나, 50대는 평균 7500여만원을 받았고 60대부터는 수령액이 크게 떨어졌다.60대 암 사망자의 보험금 수령액은 3860만원, 70대는 1580만원, 80대는 690만원, 90대 이상은 100만원에 그쳤다.이는 고령자가 질병발생률이 높지만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담보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60대 이상 사망자가 암 진단비·수술비·입원비·사망 등 4개 담보 가운데 받은 1인당 담보는 평균 2.2개로, 60세 미만의 3.2개보다 평균 1개가 적었다.60세 미만은 4개 담보를 모두 받은 비중이 51.1%로 가장 높았으나, 60세 이상 고령자는 한가지(사망) 보험금만을 수령한 비율이 43.8%였다.고령자들은 보험금 수령비중도 적었다. 60세 미만 전체 암 사망자 10명 중 6명 이상(61.9%)이 보험금을 수령했지만, 60세 이상은 10명 중 2명 남짓(21.7%)만이 보험 혜택을 입었다.이는 고령층이 암보험 자체를 해지하거나 암 관련 보장을 적게 들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암은 대개 고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치료비도 많이 들기 때문에 고령자의 암보험 가입은 필수다”며 “현재 고연령자는 실버 암보험 등을 활용해 암 발생시 보험금 수령액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2015-01-06 14:22 유승열 기자

"노령화 대비 사적연금 강제가입 필요"

인구고령화로 연금재정의 고갈속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사적연금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이에 안정적인 노후준비를 위해 사적연금 강제가입과 함께 장수리스크 관리를 위한 장수채권 발행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보험연구원이 내놓은 ‘재정위기 이후 OECD 국가의 연금정책 방향과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사적연금 가입률 확대 및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장수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장수채권 발행의 필요성을 제시했다.장수채권이란 수익률을 국민 평균기대수명 등에 연동시켜 수명이 증가하면 이자 등을 추가로 지급해 수익률이 높아지는 채권이다.이 자료에서 이상우 보험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유럽 재정위기 이후 OECD 국가들은 사적연금 강화를 위한 보험료 납입기간 상향 조정과 사적연금 의무화 등의 연금개혁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를 참고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역할 분담체계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현재 OECD 회원국의 정부지출 대비 공적연금지출 비중은 평균 17.6%에 이른다. 특히 유럽 재정위기 근원지인 그리스, 포르투갈, 이태리와 국가재정이 불안한 일본 등에서는 20%를 상회하고 있다. 이에 OECD는 이들 국가에 대해 국채발행 등 무리한 정부차입을 통한 과도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악순환을 끊고 재정안정과 국가부채 해소를 위한 연금개혁정책 추진을 권고하고 나섰다. OCED는 효과적인 연금개혁 방안으로 보험료 인상과 납입기간 연장, 장수리스크 관리를 위한 장수채권 발행, 자동가입제도 도입,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 투자규제 개선, 연금관리비용 절감 정책 등을 제시하고 있다.대다수 OECD 회원국들은 연금재정의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해 공적연금 역할을 축소하는 한편 사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이러한 OECD국가의 연금개혁 동향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공적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고 사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기능을 제고하는 방향의 연금제도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특히 공·사연금제도 간 유기적 역할분담체계 마련을 위해 공·사연금의 적정 소득대체율 정립,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추가적인 노후소득 확보를 위한 고령자의 소득활동 유인, 비효율적인 공적연금의 부담체계 개선, 사적연금 가입률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이 수석연구원은 “공적연금의 역할 조정에 따라 노후소득 확보가 불안한 중산층 이하 계층을 대상으로 사적연금의 가입확대 정책 추진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퇴직금·퇴직연금의 이원화 퇴직급여체계를 퇴직연금으로 단일화해 가입이 미진한 영세·중소기업의 퇴직연금 도입을 유도하고, 저소득층 및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한 세제지원과 연금관리 비용 절감 등 유인책 마련 등 관련 제도의 개선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4-12-28 14:34 이나리 기자

'주택연금+실버보험' 복합상품 내년 출시…보험료 5~10%↓

주택연금과 의료비 보장상품을 연계한 상품이 내년 중 출시된다. 25일 금융당국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이러한 복합상품이 늦어도 내년 3월까지 나온다.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지급받는 주택연금과 노인 대상의 의료비 보장 상품을 합치면 보험료가 5~10% 할인될 것으로 보인다.이 상품은 금융소비자가 은행이나 보험사 창구에서 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암·치매·의료비 실손보험에 함께 가입하면 일반 보험상품보다 보험료를 낮게 책정해 판매된다. 주택을 담보로 지급받는 연금 중 일부를 의료비 보장 보험에 가입하는 방식이다. 주택연금으로 노후 생활의 현금 유동성을 늘리고, 보험으로 의료비 위험 요인을 줄이자는 취지다.금융위 관계자는 “주택연금으로 노후의 현금 흐름이 안정되더라도 의료비 부담 등을 고려하다 보면 결국 연금을 제대로 쓸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서 “의료비 보험은 이런 위험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어 두 상품을 연동하게 됐다”고 말했다. 복합상품 가입자는 자신의 계좌로 들어온 연금 수입 중 일부를 보험료로 자동이체 설정하거나 주택금융공사에서 아예 보험사로 보내도록 설계하는 방안 등을 선택할 수 있다.주택연금은 은행이나 보험사 창구에서 직접 가입하므로 설계사 수수료 등 사업비 부담이 없고 연금 소득에 기반한 보험은 중도 해지 가능성도 낮아 관련 수수료율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보험업계에서는 이런 비용 절감을 모두 감안하면 보험료를 5~10%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내년 1분기 중 보험사들과 협의해 주택연금을 어떤 보험상품과 연동해 판매할지를 확정할 것”이라면서 “연계 상품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인하폭도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남지현 기자 dioguinness@viva100.com

2014-12-25 10:14 남지현 기자

"은행 리스크 관리 위해 신용사망보험 활성화해야"

은행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신용사망보험 판매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2일 김융희 농협경제연구소 상호금융·보험연구실 책임연구원은 ‘가계대출 증가와 신용사망보험’ 보고서를 통해 “최근 가계대출이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관련 위험 축소를 위한 신용사망보험의 활성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신용사망보험이란 금융기관 대출자가 사망할 경우 보험사가 잔여 대출금을 대신 갚아주는 보험이다. 채무자의 가족들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지 않고 채무 부담을 소멸시키기 때문에 채무자 가족들의 재정안정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보험금으로 잔여 채무액이 상환되므로 채권자인 금융기관 역시 부실채권 방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사망 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보험료가 저렴하다.신용사망보험은 1917년에 미국에서 개발된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 미국은 물론 유럽, 일본, 대만 등에서도 보편화된 방카슈랑스 상품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가입금액이 대출금이므로 일반사망보험에 비해 가입금액이 낮아 전체 사망보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이다. 하지만 2009∼2011년 동안 신계약건수 기준으로 개인사망보험을 초과했다. 미국 생명보험 종류별 점유율 (단위: $백만, 천건) 종류 2009 2010 2011 2012 가입금액 개인 사망보험 1,744,357 1,673,216 1,672,514 1,679,314 단체 사망보험 1,155,824 1,135,354 1,159,934 1,120,625 신용 사망보험 68,849 68,355 57,999 57,007 총계 2,969,030 2,876,925 2,890,447 2,856,945 계약건수 개인 사망보험 10,139 10,123 10,309 10,306 단체 사망보험 19,051 18,498 16,867 16,757 신용 사망보험 10,944 10,988 12,143 9,929 총계 40,134 39,609 39,320 36,992 출처: Life Insurers Fact Boo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신용사망보험이 11년 전 도입됐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대출과 보험상품 판매에 대한 엄격한 규제 때문이다. 신용사망보험은 그 성격상 대출상품과 함께 판매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은행에서 대출을 하는 경우 보험상품을 함께 판매하는 일명 ‘꺾기’를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을 제외하고 대부분 보험사가 판매 중단했다. 이에 김용희 연구원은 “최근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관련 위험 축소를 위해 신용사망보험의 활성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가계대출은 지난 10년 동안 매년 5~12% 증가해왔으며 2014년 3분기 기준 1000조원을 돌파했으며 전체 가구의 59.1%가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연령별로 40∼50대의 가구당 부채가 기타 연령층에 비해 높고 특히 은퇴연령에 가까운 50대의 경우 평균 대비 32% 높은 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즉 사망률이 높은 연령층이 많은 부채를 갖고 있어 이에 따른 금융사의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김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가계대출 상승에 따라 가계의 대출금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신용사망보험의 잠재 효용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2014-12-22 17:05 유승열 기자

연금보험 가입 '나이'에 맞춰라

최근 공적연금을 보완할 수 있는 사적연금의 역할 강화가 대두되면서 연금보험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국가의 사회보장이나 가족에 의지해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보험사들은 연금저축 등 보험상품의 판매채널을 온라인으로 확대하는 등 새로운 연금상품을 내놓고 있다. KB국민은행은 그동안 영업점 창구에서만 가입할 수 있었던 ‘e-연금저축손해보험 삼성명품연금보험’을 인터넷뱅킹으로도 판매한다.5년 이상 납입하고 55세 이후 연금을 지급받는 것으로 납입보험료는 최대 400만원을 한도로 13.2%인 52만8000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주며, 연금 수령시 연금소득세(3.3~5.5%)도 공제해준다. KDB생명은 인터넷으로 가입하는 ‘(무)KDB다이렉트 연금보험’을 판매중이다. 설계사 수수료, 점포운영비 등의 유통 거품을 제거해 기존 보험보다 최대 5% 정도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신한생명이 내놓은 ‘신한미래설계연금보험’은 연금개시 이후에도 추가납입과 중도인출이 가능해 노후자금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종신·확정형 연금지급을 선택하면 100세까지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앞다퉈 다양한 연금보험을 내놓고 있는 만큼 보장기간이나 종류, 특징을 잘 살펴보고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연금보험상품은 △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되는 연금보험 △즉시연금 및 변액연금 △세액공제형 연금 등이 있다.보험전문가들은 연금보험 가입시 나이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0~30대의 경우 보험료 납입 기간이 길기 때문에 변액보험을 들어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40대~50대 중반까지는 공시이율적립과 변액상품을 혼합해 관리하는 것을 권하고, 50대 후반에서 60세 이상은 안정적인 공시이율로 적립하거나 즉시연금으로 보험료를 일시납 한 뒤 매달 일정한 연금을 타는 것이 유리하다. 종합재무설계회사인 비큐러스 정재현 전문가는 “현재 공시이율이 3.9% 정도지만 앞으로 최저보증이율인 2.5%선까지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젊은층은 변액연금을 통해 장기적으로 수익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다”며 “변액연금은 원금보장에서부터 확정금리형, 수익률이 목표치를 달성한 이후 떨어지더라도 목표수익률을 보장해주는 스텝업 기능 등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본인에게 적합한 보험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

2014-12-18 17:33 이나리 기자

"노후대비 중요성 부각에 DC형 퇴직연금 성장할 것"

15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교육포럼 발족기념세미나’에서 강창희 트러스트자산운용 연금교육포럼 대표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앞으로 노후대비를 위한 중요한 상품으로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이 급부상할 것으로 예상됐다. 1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교육포럼 발족기념 세미나’에서 강창희 트러스트자산운용 연금교육포럼 대표는 “앞으로 우리나라는 DC형 퇴직연금 활성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DC형 퇴직연금은 회사가 퇴직금을 근로자 퇴직연금 계좌에 넣어주면 근로자가 직접 운용해 자산을 늘리는 투자형 성격의 연금제도다.그에 따르면 노후대비를 위한 공적·사적연금 활성화는 여전히 미미하다. 1980년대 연금가입률이 0.8%에서 2010년 13.2%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미국 67%, 일본 67.5%, 독일 84.3%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더욱이 은퇴자 및 은퇴 예정자들이 생각하는 최소 생활비는 133만원, 적정생활비는 184만원이었지만 지난 4월 말 기준 노령연금 수령액은 평균 60만원으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공적연금 수급률도 34.8%로 일본(96.4%)보다 낮았으며 월평균 수령액도 한국 36만원, 일본 160만원으로 차이가 났다.이에 강 대표는 DC형 퇴직연금의 성장을 전망했다. 확정급여(DB)형은 저금리 기조로 인해 약간의 인플레이션만으로도 연금액 차이가 생길 수 있는데다 기업의 임금상승률을 금리가 따라갈 수 없다.또 한사람이 통상 5~6군데 회사를 이직하는 현 상황에서는 DC형이 유리해 정부도 DC형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DC형 적립금 규모는 2014년 9월 말 20조4000억원에서 2023년 말 167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타 조우지 NPO DC형 기업연금종합연구소 이사장도 DC형의 성장을 예상했다. 일본에서 처음 도입됐던 후생연기금은 5년 후 실질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며 DC형 가입자 수는 3월 말 464만명에서 최근에는 기업형 500만명, 개인형 20만명 등 520만명으로 늘어나고 있다.하타 이사장은 일본에서도 DC형의 성장을 예상하는 이유를 버블 붕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일본은 저성장 저금리 기조를 겪고 있어 기업들에게 DB형이나 퇴직일시금 제도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DB형과 퇴직일시금제도가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에 악영향을 미치는 점은 기업 입장에서도 부담이다.또 일본 정부가 공적연금 지급 개시연령을 60세에서 65세로 상향조정한 것과 공적연금의 실질가치가 줄어든 것도 이유로 꼽았다. 이에 연금 개시 전까지 수입 절벽이 생기고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때 실제 받는 연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DC형을 통해 적극적으로 운용할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강 대표는 DC형 연금의 성공 키포인트는 투자교육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는 “미국은 연금에 대해 50~60년 전부터 교육을 하고 있으며, 영국은 1990년 후반으로 늦게 도입한 만큼 정부가 주도적으로 적극 교육에 나서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기업들이 투자교육에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고 말했다.유승열 기자 ysy@viva100.com

2014-12-16 16:51 유승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