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복 기자

편집부 기자

goodluckhh@viva100.com

BNK금융경영硏 “동남권 자동차부품산업 활력 둔화…올해 회복 난망”

2016년 이후 동남권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산 및 수출 활력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지역 기업의 부실 문제 때문에 업황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동남권 자동차 부품산업과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구체적으로 동남권 자동차부품 산업의 생산은 2013∼2015년 연평균 5% 안팎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2016년에는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이어 지난해에도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출 역시 2013∼2015년엔 연평균 80억 달러의 실적을 올렸으나 2016년 70억500만 달러, 지난해 68억 달러로 2년 연속 실적이 하락했다.연구소는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 자동차 부품산업이 국내 완성차 업체에 대한 높은 납품 의존도가 실적하락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동남권 부품업체 중 국내 완성차 업체 1곳과 거래하는 기업의 비중이 63%에 달해 편중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내 완성차의 글로벌 판매량도 2015년 900만 대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813만대로 10%가량 감소했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해 국내 완성차 업체의 내수·수출·해외 생산이 모두 줄어드는 실적 부진이 부품업계에 그대로 전해졌다는 분석이다.연구소는 올해도 업황을 회복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 중견기업의 부실 문제가 부각되고 연간 26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한국GM 군산공장 문제 등으로 완성차 판매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더구나 2025년 이후에는 차량공유, 차량호출 등 모빌리티 비즈니스의 발전으로 자동차 판매가 급격하게 둔화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연구소 관계자는 “동남권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차세대형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외 현지 투자 등으로 신규판로를 확대해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지자체도 이를 위해 RD 지원과 더불어 법률, 세제, 인력 등의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수복 기자 goodluckhh@viva100.com

2018-03-05 14:19 이수복 기자

저축은행, 지난해 순익 1조원 돌파

(자료=금융감독원)지난해 저축은행들이 1조원을 넘는 당기순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저축은행들의 연간 순익이 1조원을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이다.저축은행들의 순익 증가는 이자 이익의 상승이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저축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린 ‘풍선효과’의 영향으로 분석된다.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저축은행의 2017년 영업실적’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총 1조67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지난 2016년 8605억원보다 24.0% 급증한 규모다.대출액 7조7578억원 늘어 대손충당금 전입액도 2072억원 증가했지만 이자 이익이 6196억원으로 더 많이 늘면서 순이익도 증가했다.이 같은 순이익 증가는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져 저축은행으로 대출이 몰리는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2016년 은행권에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도입하며 은행대출을 조였다. 또 오는 26일부터 가계대출 심사에 총부체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임대업 이자상환비율(RTI)를 적용하기로 하는 등 계속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저축은행으로 대출이 몰리자 자기자본도 6조77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532억원(18.4%) 늘었다. 총 자산도 59조6998억원으로 전년 52조3093억원 보다 7조3905억원(19.4%) 증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14.31%로 전년보다 0.36%포인트 올라 건전성이 좋아졌다.부실채권 비율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1%로 전년 보다 2.0%포인트 개선됐고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같은 기간 7.7%포인트 상승한 115.9%를 기록해 필요 적립비율 100%를 넘었다.저축은행의 연체율도 개선됐다. 지난해 말 기준 총 여신 연체율은 4.6%로 전년 말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4.7%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떨어졌다. 건설업,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동산·임대업 등의 연체율이 각각 4.2%, 4.1%, 2.1%포인트 하락 하며 기업대출 연체율 감소를 이끌었다.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도 4.6%로 0.9%포인트 하락하며 개선됐다. 가계신용대출(2.1%포인트)과 주택담보대출(1.2%포인트)의 연체율 하락이 가계대출 연체율 개선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경영상황이 호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가계부채 증가, 소비회복세 부진 등 불안요인도 있어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수복 기자 goodluckhh@viva100.com

2018-03-05 06:00 이수복 기자

부동산 대출 시장 진출 엇갈린 카뱅, 케뱅…은산분리 동상이몽

부동산대출 시장 진출을 선언한 인터넷전문은행들의 흥행 성적이 엇갈리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일찌감치 유상증자에 성공해 전·월세 대출 상품 흥행몰이에 성공한 반면, 케이뱅크는 지지부진한 증자에 주택담보대출상품 출시를 연일 연기하며 ‘울상’ 짓고 있어서다.4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지난 1일 기준 700억원 규모의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약정했다. 대출한도 및 금리 누적 사전 조회 건수는 8만4000건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 23일 파일럿 상품으로 특별판매를 시작한 지 한 달여 만에 목표 약정금액의 70%를 넘어선 것이다. 이 같은 대출 약정 속도로 볼 때 이달 안으로 특별판매 목표 약정금액인 1000억원에도 도달할 것이 유력해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다.반면 케이뱅크는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출시를 연기하며 부동산 대출 사업을 시작조차 하지 못한 상황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까지 주담대 상품을 내놓겠다던 계획을 올 1분기로 연기했지만 아직까지 출시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업계에서는 은산분리 규제로 인한 자본금 확충 여부가 이 같은 엇갈린 행보의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현행 은행법에 따르면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보유 한도는 10%로 제한된다. 의결권도 4%까지만 허용된다.케이뱅크는 은산분리 규제로 인해 20여 개의 주주사가 지분을 소유하는 복잡한 지분구조로 구성돼 있다. 우리은행과 KT, NH투자증권이 10%대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한화생명보험 등 4개 주주사가 6~10%대 지분을, 나머지 13개 주주사가 5% 미만 지분을 각각 나눠가지고 있다.이런 지분구조로 인해 케이뱅크는 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려 해도 주주사들의 다양한 입장을 반영해야 해 이견조율이 쉽지 않다. 실제 케이뱅크의 2차 유증 협상에선 일부 5% 미만 소액 주주사들이 자금 여력이 없다는 이유로 이탈 움직임을 보였다.케이뱅크 측은 “소액 주주사가 투자를 부정적으로 여긴다고 유증이 무산된 건 아니”라며 “주요 주주들과의 협상이 큰 틀에서 마무리 단계에 있고 유증 공백엔 새 투자자들이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에 반해 카카오뱅크의 지분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카카오뱅크는 한국투자금융지주(58%)와 카카오(10%) KB국민은행(10%)이 대부분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특히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산업자본이 아닌 금융자본이어서 은산분리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한국투자금융지주는 50%가 넘는 지분을 소유하며 안정적으로 대주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같은 지분구조 덕분에 자본금 확충을 위한 증자 결정 과정도 수월하게 진행됐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9월 일찌감치 5000억원 규모의 유증을 시행한 바 있다.카카오뱅크는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인기의 여세를 몰아 상시판매로 전환을 노리며 한 발 더 앞서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판 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인력을 충원하는 등 전·월세 보증금 대출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을 논의 중이다.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약정금액 달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상품 개발 파트에서 전·월세 보증금 대출상품을 상시판매 확대·전환하기로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수복 기자 goodluckhh@viva100.com

2018-03-04 17:49 이수복 기자

신현욱 신임 한국P2P금융협회장, 풀어야 할 과제?

신현욱 신임 한국P2P금융협회장 (사진제공=한국P2P금융협회)출범 3년 차를 맞은 한국P2P금융협회가 신현욱 팝펀딩 대표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하고 재정비에 나섰다. 신 신임 회장을 중심으로 한 2기 임원단은 협회 사단법인화와 업계 연체율·부실율 관리, P2P 금융 규제 관련 입법과정에 업계 의견 반영 등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P2P금융협회는 지난달 28일 서울 당산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2대 협회장으로 신현욱 팝펀딩 대표를 선출했다. 부회장으로는 서상훈 어니스트펀드 대표와 양태영 테라펀딩 대표가 뽑혔다. 신 신임 회장과 2기 임원단은 향후 2년간 금융당국과 P2P금융업계의 소통창구 역할을 맡게 된다.이들의 최우선 과제는 협회의 사단법인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P2P금융협회는 지난해 사단법인화를 시도했지만 아직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금융위는 협회가 업권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는 점을 들어 사단법인 승인을 망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P2P금융협회 가입 회원사는 64개사로 전체 P2P금융업체 수의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선 협회가 금융위 산하 사단법인이 돼야 회원사의 가입유도도 수월해져 감독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급증하는 연체율과 부실률 관리도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0.16%에 불과하던 업계 평균 연체율은 올해 1월 기준 2.34%로 15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부실률도 0.54%에서 2.49%로 4.6배가량 늘었다.이 같은 연체율·부실률 상승은 부동산 대출 전문 P2P업체가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몇몇 부동산 대출 전문 P2P업체의 연체율과 부실률은 10%를 훌쩍 넘는다. 협회 차원에서 상품 개발 시 외부 전문가 참여 여부 공시 의무화 및 연체·부실률에 따른 단계별 제재 등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P2P금융 관련 제도 및 법안 설정과정에서 P2P업계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는 것도 숙제다. 앞서 한국P2P금융협회는 금융감독원이 P2P대출가이드라인 연장여부를 심의하는 과정에서 개인 투자 한도를 1억원까지 늘려달라고 건의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업계에선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 등이 발의한 온라인대출거래업법 등 정부의 규제 법안 입법과정에 업계의 의견이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다.이수복 기자 goodluckhh@viva100.com

2018-03-01 11:31 이수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