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칼럼] 경자년을 드론 도약 원년으로

권희춘 한국창의과학진흥협회 회장
입력일 2020-01-06 14:01 수정일 2020-01-06 14:02 발행일 2020-01-07 19면
인쇄아이콘
권희춘
권희춘 한국창의과학진흥협회 회장

2019년은 드론 업계에 다사다난한 해였다. 

지난해 초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드론 쇼’를 시작으로 다양한 드론행사가 이어졌다. 드론을 개발하는 부처 사업도 계속 진행됐으며, 경찰의 폴리스랩 과제에서 순찰차에 부착이 가능하며 순찰차에서 이륙과 착륙이 가능한 과제가 연속해서 추진됐다. 같은 해 6월에는 중국 심천에서 열린 ‘월드 UAV 쇼’에 초청되어 38명의 경찰관들과 함께 중국의 최신 드론기술과 현황을 알아봤다.

작년 7월에는 (사)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주관으로 ‘무인 이동체 산업엑스포’도 코엑스에서 열렸다. 이어 각 지방자치단체의 드론행사의 봇물이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 정도의 드론 관련 행사와 이벤트가 열렸다. 특히 전주에서 열린 ‘드론산업 국제박람회 엑스포’는 전북과 전주가 드론산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아주 의미 있는 행사였다.

또 개인적으로 중국 심천에서 알게 된 핀란드의 드론협회장으로부터 ‘헬싱키 드론 콩그레스’에 초청되어 ‘미시간 프로젝트’를 유럽 드론관련자들에게 강연한 일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지난해 아주 큰 드론 행사는 12월에 열린 ‘대한민국 드론박람회’였다. 항공안전기술원에서 과제로 공모한 규제 샌드박스의 결과물을 전시하고, 공공기관의 드론 날리기 실력을 뽐내는 행사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제 이런 모든 드론 관련 행사나 이벤트는 잊어버리고 경자년에는 새로운 형태의 행사가 많이 열리기를 희망한다.

드론을 실제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해야 한다. 정부는 예산 지원을 하고, 필요한 인력을 함께 양성해야 한다. 양성된 전문 인력은 기업에 유입되고, 전문가들은 연구 실증이 끝난 장비를 해외 전시회나 학회에 프로모션하는 행사를 만드는 유기적 생태계가 필요하다.

아직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한 가장 큰 실수 중 하나인 정보통신부 해체 사건을 잊을 수 없다. 그 당시 해외에는 앞선 통신기술과 발전된 통신망, 단말기 기술을 가지고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할 때 대한민국은 주무부처가 없어 무선이동통신 서비스를 2009년이 돼서야 시작한 역사를 보면 그 당시 IT 분야 1등이었던 나라가 순간적으로 17위로 추락한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

주무부처가 없어지니 예산은 바닥나고 신기술을 연구하고 정책을 세워야 하는 공무원도 사라졌다. 신기술을 이해하지 못하니 정책을 못 만들어서 나라의 기술력은 떨어지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졌다. 필요한 기술을 비싼 돈을 주고 외국에서 사와야 하는 현실이었다. 이명박 정부가 정보통신부를 없애고 기술 후진국으로 돌아설 때, 중국의 24세 대학원생은 지도교수와 창업을 해 10년 만에 전 세계에 드론시장 점유율 72%의 DJI를 만들어냈다.

드론은 향후 딥러닝이 결합된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면서 자율주행, 군집비행, 유인드론 등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이 분야에 대한 정부의 무관심과 정책 부재가 지속된다면 우리는 또 다시 기술 후진국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상기하기 바란다.

권희춘 한국창의과학진흥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