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보고서] 한계 기업·가구 급증…금융시스템 불안 확대

최재영 기자
입력일 2016-06-30 16:49 수정일 2016-06-30 17:11 발행일 2016-06-30 1면
인쇄아이콘
대외리스크 파급경로
그림= 한국은행

한국경제의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조선·해운 등 부실 기업 구조조정 외에도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과 빚이 소득보다 더 많은 한계가구의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취약업종의 여신부실화와 신흥국 저성장 등 대외리스크 요인이 확대되고 있어 우려를 더한다.

한국은행이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전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한계기업과 한계가구를 중심으로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영업이익으로도 이자 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이다. 한계기업은 2015년 말 기준으로 3278곳으로 전년보다 39곳이 늘었다.

특히 정상기업으로 되돌아오기 힘든 ‘만성적 한계기업’도 2474곳으로 매년 100여곳 이상 증가하는 추세다.

가계 빚이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며 한계가구의 급증하고 있는 것도 핵심 리스크로 지목됐다.

지난해 한계가구는 134만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1072만)의 12.5%로 전년보다 4만 가구 늘어난 수치다. 이들이 가진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29.1%로 1년전(28.6%)보다 비중이 0.5%포인트 상승했다.

중국의 금융·경제 불안과 신흥국 저성장 등의 대외리스크도 국내 금융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더욱 높아졌다.

특히 저유가 상황에서 일본·유럽지역 경기둔화가 동시에 발생한다면 국내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총 자본비율은 3.1%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손실은 마이너스(-) 1.6% 포인트, 시장손실은 -1.5% 포인트, 은행간 손실 전염 및 거시·금융 연계성에 따른 2차 효과 손실은 -1.0% 포인트로 집계돼 자칫 심각한 상황이 우려된다.

한은은 “앞으로 부실기업과 가계부채 등은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계속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신흥시장의 저상장 등 주요 잠재 리스크에 대해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해 파급경로와 금융시스템 전이 가능성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