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저축은행·카드사 내년 실적저하 대비 리스크 관리 필요

김동휘 기자
입력일 2022-11-09 10:11 수정일 2022-11-09 13:59 발행일 2022-11-10 9면
인쇄아이콘
1434423577
금리인상과 PF 부실 등의 영향에 대비해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업권이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8일 한국금융연구원에서 제기됐다. (사진=게티이미지)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업이 내년 금리인상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부실 등의 영향에 대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 8일 개최한 ‘2022년 금융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서 이 같은 요지의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수진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소비자연구실장은 발제를 통해 내년 저축은행의 대출금리 상승에 따라 취약차주 및 일부 소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상당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예대마진 축소가 전반적인 수익성의 둔화를 유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실장은 위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과제로 거시경제 여건 악화 및 유예조치 종료 등에 따른 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지역금융기관으로서 부실자산 처리를 통해 지역경제에 기여하며 정책서민금융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꼽았다.

여신전문금융업은 올해 상반기 기준 총자산이 226.9조원으로 전년말 대비 9.4%증가하고 순이익이2.15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2023년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금 조달 여건과 PF이슈로 인한 자산건전성 악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이 실장은 “내년 여신전문금융업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조달금리의 상승”이라며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가 더 확대될 수 있고 카드채 만기별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여전업권의 조달구조를 단기화해 유동성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여신전문금융업의 2023년 과제로 그는 조달여건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여력을 확충하고 자산건전성을 관리해야 하며 정책적으로는 PF대출 가능성에 대비해 여전업 자산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여신전문금융업과 전자금융업 간 결제시장에서의 형평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가 추진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이 강화되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이 금융업에 진출하면서도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강철구 한국기업평가 금융본부장은 “내년 금융업 실적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금리인상과 PF다”라며 “금리인상이 일어났을 때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종이 은행과 보험인 만큼 보험은 금리 인상 등 문제로 인한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업의 경우 금리 인상기에 보유 자금 운용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경우 조달금리나 여신금리가 높고 차주의 취약성도 높기 때문에 가장 빨리 (금리 인상과 PF 부실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강 본부장은 지적했다.

김동휘 기자 kimdh@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