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 “韓 금융시장 트리플 약세, 中 시장 안정 정책 중요”

이은혜 기자
입력일 2021-10-07 09:39 수정일 2021-10-07 09:47 발행일 2021-10-08 9면
인쇄아이콘
clip20211007085527
(사진=하이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은 7일 “국내 금융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중국발 경기 리스크와 에너지 가격 불확실성”이라며 “중국 정부의 시장 안정 정책 여부가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 여부를 판가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금융시장에서 주식과 채권, 원화의 이른바 ‘트리플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약세의 원인은 △ 테이퍼링(자산매입 규모 축소) 우려 △ 미국 부채한도 협상 난항에 따른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 △ 공급망 차질 장기화 및 에너지발 인플레이션 우려 △ 중국 헝다그룹발 유동성 위기 및 전력난 등 대부분 이미 노출된 악재다.

특히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 리스크보다 중국과 에너지 리스크에 더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진단이다.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연구원은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경고하고 있는 것처럼 오는 18일까지 부채한도 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 미국은 일시적일지라도 디폴트 상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은 금융시장에 부담스러우나, 공화당 입장에서도 미국 경제상황을 무시하고 디폴트를 촉발시킬 가능성은 낮다”며 “민주당과 공화당의 조건부 타결 여지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미국의 신용스프레드와 변동성지수도 이러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가장 큰 변수는 중국 리스크 완화 여부”라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화양년’의 신용등급이 ‘제한적 디폴트’로 강등돼 연쇄부도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것.

그는 “국경절 연휴 이후 중국 정부가 유동성 위기 진화 및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대책을 내놓을 지가 중국뿐만 아니라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 여부를 판가름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2015년 신용위기 당시에 비해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증가했고, 아직 뚜렷한 자금 유출이 가시화되고 있지 않다는 점은 중국 정부의 위기 관리 능력을 엿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발 유동성 위기를 조기에 진정시키고 전력난과 관련된 수습방안, 예를 들어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 등의 카드를 내놓을 수 있을 지가 변수”라며 “유가 및 에너지 가격 관련해서도 이달 말 유럽연합(EU) 및 G20 정상회담에서 가격 안정을 위한 정책 공조가 나올 여지가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은혜 기자 chesed71@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