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파티’의 변수, 연준 테이퍼링 시점 빨라지나

김수환 기자
입력일 2021-04-04 16:59 수정일 2021-05-06 15:29 발행일 2021-04-05 9면
인쇄아이콘
FILES-US-ECONOMY-BANK-RATE-EMPLOYMENT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AFP=연합)

‘영끌 빚투’ 열풍에 치솟은 국내 자산시장의 최대 변수 중 하나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는 시점이다.

코로나19라는 극단적인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단행된 양적완화와 제로금리라는 비정상적 통화정책을 언제 테이퍼링(양적완화의 점진적 축소)과 금리인상으로 정상화시킬 것이냐이다. 코로나19 여파에서 벗어나는 미국의 경기회복 속도는 연준의 결정에 영향을 줄 최대 요인이다.

지금 미국의 경기회복이 가속화되고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백신 접종 확대와 잇따른 대규모 부양책으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미 노동부가 2일(현지시간) 발표한 3월 고용통계에 따르면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92만여개 늘어났다. 지난해 8월 이후 최대폭 증가다. 특히 코로나19에 큰 타격을 입은 레저 및 접객업종을 비롯해 전업종에 걸쳐 일자리 회복세가 뚜렷해졌다. 실업률은 전월 6.2%에서 6.0%로 0.2%포인트 낮아졌다.

백신 접종도 확대되고 있다. 일 평균 200만 명 이상이 백신을 맞고 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집계에 따르면 2일 기준 코로나19 백신을 1차례라도 맞은 미국인은 전체 인구의 30.7%(약 1억명)다. 3명 중 1명꼴로 최소 1번은 백신을 맞은 셈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5월말까지 미국의 모든 성인에게 접종이 가능한 백신을 보급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부양책은 미 의회를 통과한데 이어 2조 달러 규모의 초대형 인프라 건설투자 계획도 발표됐다. 인프라 투자안(The Amercian Jobs Plan)은 일자리 창출과 고용회복에 방점이 찍혀 있다.

KB증권은 “대규모 부양책과 백신 접종 효과 등으로 미국의 성장세가 가팔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태오 삼성선물 연구원도 “인프라 투자안으로 경제정상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이는 연준의 금리인상 시점을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선 이미 그런 조짐이 일부 나타나기 시작했다. 18명 FOMC 위원들의 기준금리에 대한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서다. 당시 2022년 금리인상을 전망한 위원수는 지난해 12월 시점의 1명에서 4명으로 늘었다. 2023년 금리인상 전망은 같은 기간 5명에서 7명으로 늘어났다. 여기서 2명만 더 추가되면 9명이 되어 점도표 중간값이 오르게 된다. 그렇게 되면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 시장 일각에선 오는 6월 FOMC쯤에서 이 같은 변화가 있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김두언 KB증권 이코노미스트는 “2분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성장률과 물가상승 등 경제에 상당한 진전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는 6월 FOMC에서 점도표 상향 조정, 8월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 등 통화정책 정상화의 힌트가 있을 것이고, 이는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를 앞당기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코로나19 이전의 회복 추세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 말 미국 경제를 감안하면, 연준은 2022년 초 테이퍼링을 시작하고 기준금리는 2022년부터 완전고용에 준하는 4%대 중반 실업률을 확인하고 2023년 초 완전고용 실업률(4.1%)에 도달하면서 25bp(1bp=0.01%포인트) 금리인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경우 2025년 말 시점의 기준금리는 2%에 도달할 것이란 예상이다. 이는 3년 동안 0.25%포인트씩 총 7차례 금리를 올려야 가능한 수준이다. 연준은 그동안 점도표상에서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그런 전망에 변화가 생길 수 있는 올해 6월, 8월, 9월 FOMC를 중심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