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급성 심정지 환자 1.5배…생존률은 3배

노은희 기자
입력일 2017-09-26 08:34 수정일 2017-09-26 09:42 발행일 2017-09-26 99면
인쇄아이콘
광주 서부소방서, 스마트의료지도 교육
지난 7월 19일 광주 서부소방서 대회의실에서 구급대원들이 심정지 환자에게 적용하는 스마트의료지도 교육을 받고 있다. (광주 서부소방서 제공=연합)

10년 동안 급성 심장정지 환자가 1.5배로 불어났지만 그 중 생존하거나 회복한 비율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26일 질병관리본부 및 소방청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 심장정지 환자 의무기록을 조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2만9832명이었다. 이는 2006년 1만9480명보다 53.1% 늘어난 수치다.

인구 10만명당 심장정지 발생률 역시 2006년 39.8명에서 지난해 58.4명으로 급증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뇌 기능 회복률’은 4.2%로 2006년 0.6%의 7배에 달했다. 뇌 기능 회복은 혼자서 일상생활을 할 정도로 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뜻한다.

일상생활로 복귀하지 못했지만 살아서 퇴원한 ‘생존율’은 같은 기간 2.3%에 7.6%로 3배를 넘었다.

뇌 기능 회복률 및 생존율에는 지역 간 격차가 있었다.

작년 뇌 기능 회복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 9.3% △울산 6.2% △서울 6.0%이었고 낮은 지역은 △전남 2.0% △강원 2.5% △경북 2.7% 순이었다. 최대 차이는 7.3%포인트로 지역별 격차가 해가 지날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생존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11.9%), 서울(11.4%), 울산(10.9%) 순서로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경북(4.3%), 전남(4.7%), 전북(5.1%)으로 최대 격차는 7.6%포인트로 집계됐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지역별 인구구조의 차이, 응급의료 접근도, 이송 후 병원 처지의 수준, 환자 개인의 특성 등이 지역별 생존율 차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밝혔다.

환자에게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비중은 2008년 1.9%에서 지난해 16.8%로 급증했다.

또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환자가 생존할 확률은 동일한 기간 8.9%에서 15.5%로 늘었다.

환자 중 남성 비율은 65% 정도로 여자의 2배이며, 지난 3년 동안 70세 이상 노인이 전체 환자의 절반에 이르렀다.

급성 심장정지가 생기는 주원인은 질병으로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 부전이 큰 영향을 끼쳤다.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전체 발생의 50∼60%를 점유했으며, 그 외 도로·고속도로 8∼10%, 요양기관 5∼7%, 구급차 안 4∼6% 순서로 파악됐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