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선업 강점 살려 해양레저산업 육성하자"

전경진 기자
입력일 2016-05-30 11:16 수정일 2016-05-30 17:54 발행일 2016-05-30 9면
인쇄아이콘
ScreenShot_20160530101307
조선업 인력현황 및 땅 면적 대비 국내 해안선 길이(그림제공=전경련)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최악의 상황을 맞은 가운데 해양레저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키워 이번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레저선박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이 융복합된 해양레저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제안은 최근 대형 화물선 위주의 우리나라 조선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해법으로 제시됐다.

전경련에 따르면 레저선박 제조 과정은 가공, 용접, 페인트 등의 생산 공정이 일반 선박을 만드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전환 교육만 실시하면 조선분야의 우수 인력들을 레저선박 제조분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국내 대부분의 중소형 조선소는 강선(steel ship)을 생산하고 있는데, 강선 제조시설의 핵심인 선대, 도크 등은 대형요트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설비로 활용이 가능해 유휴 생산설비도 전환해 활용할 수 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의 긴 해안선과 3면의 바다도 해양레저산업의 중요한 자원이라 전했다. 우리나라 국토 면적(96,920km2) 대비 해안선 길이(1,247만m)의 비율은 129로, 미국(14.6)의 8.8배, 이탈리아(31.4)의 4.1배다. 길이가 길 뿐만 아니라, 동해, 남해, 서해 등 연안별 특색이 달라서 다양한 해양레저 코스를 만들 수 있다.

이탈리아 비아레지오(Viareggio) 지역은 쇠락한 조선소가 레저선박 제조단지의 중심으로 거듭난 대표 사례다. 일반 선박 생산업체 세크(SEC)가 2002년 도산한 후, 베네티(Benetti) 등 12개 요트업체가 이를 인수해 일반 선박용 조선소와 유휴 항만시설을 레저선박 제조용으로 전환했다. 이후 30여개의 레저선박 제조업체와 약 1000개의 부품생산업체가 밀집한 클러스터가 형성됐고 전세계 슈퍼요트의 약 22%를 생산하는 레저선박제조 중심지가 되었다.

전경련은 뉴질랜드 사례를 통해 카누, 요트 등 해양레저코스를 편도로 연결한 ‘바닷길’을 조성하자는 제언도 했다. 뉴질랜드 남섬의 아벨 타스만(Abel Tasman) 국립공원에는 요트, 카약, 수상택시 등을 갈아타며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바닷길이 있다. 제주도 해안선 길이(258km)의 약 5분의 1 구간(54.3km)에 약 15가지 투어코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레저기구를 대여해 편도로 이용하고 다른 곳에서 반납할 수 있어 같은 장소를 왕복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나라는 현행법상 A업체와 B업체가 제휴하여 뉴질랜드 같은 바닷길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A업체가 A지역에서 B지역으로 가는 코스를 만들려면 B지역에 이미 계류장, 매표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명의의 시설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

이에 전경련은 국가 차원에서 제주 올레길 같은 해양레저코스 ‘바닷길’을 만들고, 해양레저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자간 계류장 공유를 허용하여 코스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외국 사례의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가 가진 조선산업 경쟁력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우수한 해양 환경과 조선 기술을 적극 활용해 미래 성장동력인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경진 기자 view@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