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 육성 위해선, 선택과 집중 반드시 전제돼야"

전경진 기자
입력일 2016-05-26 11:00 수정일 2016-05-26 11:00 발행일 2016-05-26 99면
인쇄아이콘
우리나라가 2020년까지 5조 6952억 원을 투자해 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 자동차 등 19대 미래성장동력을 육성하려는 것과 관련, 예산 집행에서 선택과 집중, 산업분야별 컨트롤타워 설치, 실제 산업 현장과 밀접한 세제 지원 등이 없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신산업육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 하에 육성 분야 및 추진부처를 단순화하고, 산업현장과 괴리된 세제 지원을 개편하는 등 적극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26일 밝혔다.

이는 이미 GDP 대비 R&D 투자 1위국인 우리나라가 R&D 예산을 더 이상 늘리는 건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경쟁국과 달리 우리는 예산 대비 다수의 분야를 육성하다보니, 1개 분야별 연간 예산이 평균 500억 원에 불과해 뒤처지고 있다.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의 경우 가장 큰 규모인 8329억 원(6년 기준, 연 평균 1388억 원)이 투자될 계획이나, 이는 중국의 1/13에 불과하며, 미국 1개 기업 예산보다 작다. 중국 정부는 2014년 이미 100억 위안(약 1.8조 원)을 사물인터넷 분야에 투자하였으며, 미국 IBM사는 향후 4년간 30억 달러(약 3.6조 원, 연 평균 9000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산업분야별 컨트롤 타워가 없이 다수의 부처가 참여하는 것도 어려움이라고 평가했다. 스마트 자동차의 경우 교통 인프라, 센서, 빅데이터, 기계 등이 요구되는 융복합산업이다보니 미래부, 국토부, 산업부 등 3개 부처가 참여하고 있는데 주관부처를 아직 선정하지 못해 개별예산으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반면 최고 기술국인 미국은 스마트 자동차 분야를 한 개 부처에서 총괄하여 육성하고 있다. 이에 전경련은 기술을 융합하고 연계하는데 불편이 있고, 중첩된 연구개발이 이뤄질 우려가 높다고 전했다.

또 전경련은 국가 R&D 투자의 75%를 차지하는 민간에게 가장 주요한 정책지원 중 하나는 세제혜택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조세특례제한법이 규정한 신성장동력에서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4개 분야가 제외되어 있을 뿐 아니라, 법에서 규정한 신성장동력의 기술적 정의가 모호하여 기업들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전경련 추광호 산업본부장은 “우리나라가 육성하려는 미래 먹거리에 중국, 독일, 일본, 미국 등 여러 국가들도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면서 ”한정된 예산으로 경쟁력을 가지려면 육성분야를 좀 더 단순화하고, 분야별 주무부처 컨트롤 하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신성장동력 R&D 세제 지원을 산업계 현실에 맞게 개선해줄 것”을 이야기했다.

한편 ‘중국 제조 2025’을 선언한 중국의 경우 신소재 등 10대 핵심 산업에 향후 10년간(‘16년~’25년) 8조 위안(연 평균 144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독일은 ‘14년 ‘신규 첨단기술전략’을 통해 지능형 이동수단 등 향후 빠르게 성장이 예상되는 6개 분야를 육성하기로 발표하고, 매년 140억 유로(18.6조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일본도 과학기술분야에 26조 엔(연 평균 56조 원)을 5년간(‘16년~’20년) 투입하여 로봇, AI 등 미래 기술을 육성할 계획이다.

제조업 경쟁국들은 정책적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미래 기술 개발에 앞장서는 기업의 법인세를 감면하고 있고, 일본은 기업실증특례제도를 통해 미래 먹거리 육성을 저해하는 규제를 철폐 및 완화하고 있다. 미국도 R&D 세액공제율을 기존 14%에서 18%로 높였다.

전경진 기자 view@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