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기업 처벌 수위 = 내란 폭동 관여 죄"

전경진 기자
입력일 2016-05-10 11:25 수정일 2016-05-10 17:20 발행일 2016-05-10 9면
인쇄아이콘
ScreenShot_20160510011424
대기업집단 제재·처벌 근거 법률 현황(표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대기업 집단에 대한 처벌 규정이 형법상 ‘내란 폭동 관여 죄’, ‘외교 기밀 누설죄’ 등에 상응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10일 발표한 ‘대기업집단 제재·처벌규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집단에 대한 제재·처벌 조항이 31개에 이르며, 이들 조항에 따른 처벌 형태는 형사처벌이 32개, 행정제재가 33개다.

각 조항별로 법적 근거를 보면 공정거래법에서 13개(41.9%)로 가장 많았고, 자본시장법 8개(25.8%), 방송법 등 언론 관련 법률 4개(12.9%), 기타 6개(19.4%)다.

ScreenShot_201605100117061
대기업집단 제재·처벌규정 현황(표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전과자가 되는 형사처벌 중 벌금형은 3000만원 이하부터 최대 2억원 이하까지 처해질 수 있다. 2억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공정거래법에서 6개, 자본시장법에서 2개로, 공정거래법의 상호출자 금지, 순환출자 금지와 자본시장법의 집합투자재산의결권 제한과 신탁재산 의결권 제한 등을 위반한 경우다.

징역형은 1년 이하부터 최대 5년 이하까지 처해질 수 있다. 5년 이하의 징역형은 2개로 자본시장법의 집합투자재산의결권 제한과 신탁재산 의결권 제한을 위반한 때다.

관련 규정을 위반했을 때 법인과 개인을 동시에 벌금형·징역형에 처할 수도 있다. 양벌규정은 15개로 공정거래법에서 9개, 자본시장법에서 6개다.

행정제재 규정은 의결권제한 12개, 영업정지·허가취소 등 6개, 과태료 8개, 이행강제금 2개, 과징금 5개 등 총 33개였다.

법률 위반시 1개월 이내 영업 정지부터 허가·등록취소·해산명령 등이 가능하다. 허가취소는 방송법의 지상파방송사업자 등의 지분 소유제한을 위반한 경우 등 2가지다. 등록취소는 자본시장법의 채권평가회사 출자액 제한을 위반한 때다. 해산명령은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설립등기 즉시 보고 위반 등 2가지 경우다.

과태료는 500만원 이하부터 최대 1억원 이하까지 부과할 수 있다. 1억원 이하의 과태료는 공정거래법의 대규모내부거래 이사회 의결 및 공시와 유통산업발전법에서 유통산업 점포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등 5개를 위반한 때다.

과징금은 위반금액의 10% 이내 또는 기업에 대한 지원액의 3배가 부과 된다. 공정거래법의 상호출자 금지, 순환출자 금지, 채무보증 금지, 창업투자회사의 계열사 주식 취득·소유 금지를 위반한 때는 위반금액의 10%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사업재편계획 승인 취소의 경우 기업에 대한 지원액의 3배 과징금 부과가 가능하다.

한편 공정거래법의 상호출자 금지, 순환출자 금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계열사 주식 취득·소유 금지 등 3개를 위반한 경우에는 △위반 해소 시까지 의결권행사가 제한되고 △위반행위로 취득한 주식가액의 10% 이내에서 과징금이 부과되며 △2억원 이하의 벌금 또는 △3년 이하의 징역 등 4개의 제재·처벌이 중복 부과된다. 이에 더해 개인과 회사를 동시 처벌 가능한 양벌규정도 적용된다.

이와 관련 이철행 전경련 기업정책팀 팀장은 “형법에서 징역 5년 이하 형벌에 처해질 수 있는 경우는 내란 폭동 관여(제87조), 외교상 기밀을 누설하는 경우(제113조) 또는 흉기를 이용하여 타인을 폭행한 경우(제261조) 등이”라며 “대기업집단 관련 법규 위반행위에 대해 과도한 징역형이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도록 된 규정은 시정되어야한다”고 밝혔다.

전경진 기자 view@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