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총부채 4835조원…"日 장기침체 답습 가능성 높아"

심상목 기자
입력일 2015-06-22 14:21 수정일 2015-06-22 14:35 발행일 2015-06-22 99면
인쇄아이콘
브릿지경제 심상목 기자 = 한국의 국가총부채가 4835조원에 달해 일본의 장기침체를 답습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부채를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한국경제연구원은 ‘국가총부채 변동에 따른 위험 요인 점검’ 보고서를 통해 2013년 기준 한국의 정부와 가계, 기업부채를 포함한 국가 총부채는 총 4835조3000억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대비 338.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총 부채 중 공공부문과 군인·공무원연금 충당, 금융공기업 등을 포함한 정부 관련 부채는 최대 1958조9000억원으로 추정됐다. 가계부채는 962조9000억원, 기업부채 1913조5000억원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특히 공기업 부채와 가계부채에서 문제가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일반 정부부채 수준은 해외 주요국보다 높지 않다는 것.

한경연은 “경제 체질개선과 구조개혁을 통한 국가총부채 관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대외 상황이 국가부채의 위험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을 것으로 한경연은 전망했다.

김영신 연구위원은 대외 위험요인으로 미국 금리 인상을 꼽았다. 최근 10년간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됐을 때 짧게는 2개월의 시차로 한국 금리도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는 “미국의 기준금리와 한국 기준금리의 동조화 경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국가총부채에 대한 정부·가계·기업 등 각 경제주체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허원제 연구위원은 “정부·기업과 달리 가계는 자금조달방안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따른 추가이자 비용을 온전히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정부의 재정적자 폭이 커지는 상황에서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 정부의 재정부담도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의 변화와 가계부채 증가 양상을 볼 때 일본의 장기침체 과정을 답습할 가능성이 높다”며 “구조개혁을 통한 경기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심상목 기자 ss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