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부실채권비율 가장 높은 이유는… 정부 탓?

심상목 기자
입력일 2015-04-21 16:05 수정일 2015-04-21 17:54 발행일 2015-04-22 5면
인쇄아이콘

우리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다른 시중은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에서는 정권 혹은 정치권 입김이 작용하는 탓에 부실대출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2014년 말 기준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여신비율)은 2.10%에 달하고 있다.

우리은행
<p>우리은행 본점(연합)

같은 기간 시중은행 평균 부실채권비율이 1.38%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또한 씨티은행(0.98%), 신한은행(1.03%)와 비교하면 더욱 눈길을 끈다.

우리은행 부실채권비율이 높은 것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2013년 말 우리은행 부실채권비율은 2.99%를 기록했다. 당시 시중은행 부실채권비율 평균은 1.74%였다.

은행권에서는 우리은행이 부실채권비율이 높은 이유로 사실상 정부 소유 은행이라는 점을 꼽고 있다. 우리은행은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51.04%를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권이나 정치권 대출부탁을 쉽게 거절할 수 없고, 이것이 곧 부실채권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국 화푸빌딩 부실채권이다. 중국 화푸빌딩 프로젝트 파이낸싱(PF)으로 나간 금액은 38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은행 총 고정이하여신은 4조4000억원이다.

우리은행은 화푸빌딩 PF를 이정배 전 파이시티 대표와 진행했다. 이 대표는 ‘파이시티 게이트’ 당시 이명박 정권 실세였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인허가 관련 청탁 로비에 연루됐던 인물이다.

사정당국 한 관계자는 “다른 시중은행들의 경우 프로젝트파이낸싱이나 대규모 대출을 진행할 때 정확한 심사 등을 거쳐 진행한다”며 “사실상 정부가 실소유주라고 할 수 있는 우리은행은 정치권 등의 입김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행장 등 CEO 선임에 정부 입김이 작용하는데 무리한 대출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조속한 민영화만이 우리은행이 관치금융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라며 “이광구 행장도 조속한 민영화를 선택했지만 현재 주가 등 여러 가지 측면을 봤을 때 어려울 것으로 보여지며, 정부 당국에서도 민영화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다는 말도 있다”고 말했다.

심상목 기자 ss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