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사외이사 40% '권력기관' 출신

정윤나 기자
입력일 2015-03-09 13:55 수정일 2015-03-10 09:51 발행일 2015-03-09 10면
인쇄아이콘

대기업들이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올해도 여전하다. 전직 장ㆍ차관들을 사외이사로 앉혀 문제 발생 시 방패막이로 활용한다는 비난에도 이 같은 악습을 매해 되풀이 하고 있는 것. 

9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0대 그룹이 올해 주총에서 선임(신규·재선임)하는 사외이사 119명 가운데 39.5%(47명)는 장·차관, 판·검사,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등 권력기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9.7%(50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직업별로 살펴보면 정부 고위직이 1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판·검사(12명), 공정위(8명), 국세청(7명), 금감원(2명)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올해는 정부 고위직 가운데 장·차관 출신이 두드러졌다. 정부 고위직 18명 가운데 장?차관 출신은 12명(66.7%)으로 지난해(6명·27.2%)의 두 배에 달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생명은 박봉흠 기획예산처 전 장관과 김정관 지식경제부 전 차관을, 삼성SDI는 노민기 노동부 전 차관을 사외이사로 각각 재선임한다. 기아자동차는 이달 20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귀남 전 법무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올린다.

SK C&C(하금열 전 대통령실장), SK텔레콤(이재훈 산업자원부 전 차관) 등 SK그룹 계열사들도 정부 고위직 출신을,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은 각각 문성우 법무부 전 차관과 김성호 보건복지부 전 장관을 사외이사로 선택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신규 선임하는 사외이사는 모두 고위공직자나 권력 기관 출신들이다. 한승수 전 국무총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전 장관, 박병원 대통령실 전 경제수석비서관, 김대기 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은 두산인프라코어 사외이사로 내정됐다.

재벌닷컴 관계자는 “기업들이 바람막이로써 권력 출신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는 세무조사가 약해진 탓인지 국세청 출신이 줄고 대신 전직 장·차관들이 많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검찰과 판사 출신도 사외이사 자리에 다수 포진됐다. 김준규 전 검찰총장(현대글로비스), 홍만표 전 대검 기획조정부장(LG전자), 변동걸 서울중앙지법 전 원장(삼성정밀화학) 등이 법조계 출신 사외이사다. 또 두산중공업은 김동수 전 공정거래위원장을, 롯데제과는 강대형 공정위 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한다.

그룹별로 보면 LG그룹이 사외이사 13명 가운데 1명만 검찰 출신으로 선임해 권력 기관 비중(7.7%)이 가장 낮았다. 반면 두산그룹은 9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8명(88.9%)을 권력 기관 출신으로 선임했다.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한진그룹의 권력 기관 출신 비중은 각각 50.0%였다. GS(40.0%), 삼성(39.3%), SK(35.0%), 한화(33.3%), 롯데(30.8%)가 뒤를 이었다.

브릿지경제 = 정윤나 기자 okujy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