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 차원의 반도체 인력양성 ‘백년대계’ 시급

우주성 기자
입력일 2022-03-09 13:02 수정일 2022-03-09 13:09 발행일 2022-03-10 19면
인쇄아이콘
KakaoTalk_20210817_164029352
우주성 산업IT부 기자

미·중 패권 경쟁과 반도체 공급망 자국화, 지정학적 리스크로, 국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대책의 필요성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이다.

정부 역시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을 위한 플랜 마련에 분주하다. 하지만 반도체 중장기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인력 양성에 대한 정부의 비전은 좀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반도체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두뇌다. 이달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을 포함, 전 세계의 반도체 구인난이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WSJ의 진단에 따르면 반도체 고급 인력이 풍부한 미국에서도 오는 2025년까지 최소 7만 명의 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반도체 인력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사정은 더욱 불 보듯 뻔하다. 주력 시장인 메모리 반도체는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특히 팹리스와 시스템 반도체의 인력난은 현재도 심각한 상황이다. 영세 기업일수록 더욱 그렇다. 지난 취재에서 만난 국내의 한 중소 팹리스 기업 관계자는, 국내에는 사실상 팹리스 전문 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고 푸념했다.

각국의 반도체 인재 모시기 경쟁으로 인한 인력 유출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국가 시책으로 설정하면서, 2010년대 중반부터 국내 반도체 인력 유출 문제가 수면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도 이미 반도체 전문가 양성과 확보에 각 기업의 사활을 걸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를 통해 기업 현장에서 바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채용 연계학과 등을 통한 인력 확보에도 나서는 중이다. 하지만 시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데다, 중견·중소 업체에 대한 인력 수급 문제는 해결은 커녕 해가 갈수록 악화일로에 접어들고 있다.

정부도 이를 모르고 있지는 않다. 정부가 발간하는 산업기술 인력 수급실태 조사 보고서 등을 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반도체 산업 분야에서 인력 부족률은 2%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그간 제시한 반도체 인력 양성 정책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한 듯하다. 업계와의 소통과 협력을 통한 반도체 인력 수급 정책 개선과, 시스템 반도체 등 첨단 시장에 대응할 첨병을 양성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주도면밀한 대전략이 시급하다.

우주성 기자 wjsbur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