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조선인력 처우 개선 시급하다

김아영 기자
입력일 2022-02-16 14:12 수정일 2022-04-30 01:48 발행일 2022-02-17 19면
인쇄아이콘
clip20220216030855
김아영 산업IT부 기자

“2022년까지 조선 인력 8000명을 양성하고, 신규 인력 유입을 확대하겠다.”

지난해 ‘K-조선 비전과 상생 협력 선포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 1등 조선 강국’으로의 재도약 의지를 다지며 했던 말이다. 정부는 조선업계 고용 활기를 위해 인력수급 지원을 약속했다. 국내 조선사들이 청년인력 유입과 숙련공 복귀를 위한 정책 마련을 수차례 요구했던 결과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책엔 핵심이 없다. 노동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처우 및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빠진 것이다. 노동 환경과 임금의 개선 없이 일자리 지원자가 늘었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알맹이가 빠진 정부 지원책에 화답할 노동 인력이 도대체 몇 명이나 될까 싶다.

조선업은 매번 수주하는 선박의 종류가 달라진다는 특성 탓에 숙련된 생산 인력이 꾸준히 필요한 업종이다. 하지만 2014년 이후 국내 조선사들이 극심한 불황을 겪으며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 업체들은 고강도 구조조정을 통해 인력을 감축할 수밖에 없었다. 숙련공들은 타 업종으로 모두 이탈한 상황이다.

문제는 이탈한 숙련공 중 조선소로 다시 돌아올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이탈 인력 중 대부분은 건설, 플랜트 현장으로 옮겨갔다. 조선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노동 강도가 낮고 임금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얼마 전 조선업계 인력난을 취재하며 한때 조선소에 몸담았던 근로자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각종 안전사고 소식은 끊이질 않는데 처우는 타 현장직에 비해 훨씬 열악해요. 이것저것 지원은 해준다고 하는데, 근로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문제는 작업 현장 개선과 임금이에요. 정작 이 문제에 대해선 언급이 없어요. 이런 상황에서 조선소로 돌아올 인력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조선사들 역시 이러한 문제 제기에 공감하며 작업 환경 개선에 앞장선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조선업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문제의 본질을 해결하지 않는 이상 K-조선 재도약은 요원할 것이다.

김아영 산업IT부 기자 ay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