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지역 청년 엑소더스 막아야

이원배 기자
입력일 2022-01-10 13:50 수정일 2022-01-10 14:08 발행일 2022-01-11 19면
인쇄아이콘
취재수첩 사진
이원배 정치경제부 차장

급격한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국가의 미래까지 좌우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다. 기대 만큼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어쨌든 국가 차원에서 대대적인 대책 마련과 출산율 제고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저출산 문제 못지않게 지역 청년의 서울 등 수도권 이주로 인한 지역 인구 감소도 문제다. 그나마 적은 지역 청년이 일자리와 학업을 위해 ‘서울로 서울로’ 향해 지역의 청년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의 ‘지방인구의 감소 현황과 시사점’을 보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이동 규모는 2018년 5만9797명, 2019년 8만2741명, 2020년 8만7775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수도권으로 이동한 청년층(20~34세) 인구는 2015년 3만3329명에서 2020년 9만719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주로 대학진학 등 학업과 일자리를 이유로 서울 등 수도권으로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 몰려든 청년은 주로 1인 가구가 된다. 고달픈 1인 가구의 서울살이가 시작되는 것이다. 서울로 몰려드는 청년으로 인해 주거난이 더 심해진다.

청년이 빠져나간 지역은 점차 활기를 잃는다. 지역의 대학들은 학생 모집에 갈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고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도 쇠퇴하고 있다. 기업의 인재 구하기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지역 청년들이 서울로 몰리는 이유 중 하나는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적기 때문이다. 과거 고향에서도 ‘괜찮은’ 일자리를 구하기 쉬웠지만 지금은 지역과 서울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국가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지역 청년의 수도권으로의 집중은 심각한 불균형과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지역은 ‘소멸’ 위기에 놓이게 되고 수도권은 인구가 몰려 비대해지고 주택난과 사회적 비용을 야기한다. 저출산 대책과 함께 지역 청년 이탈을 막을 실질적인 대안 모색이 절실하다.

이원배 정치경제부 차장 lwb21@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