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 안전 기술, 세계 최고 수준” 국제안전보건전시회 가보니

김성서 기자
입력일 2023-07-05 18:41 수정일 2023-07-05 18:41 발행일 2023-07-05 99면
인쇄아이콘
AI 등 첨단기술 활용한 안전장비 전시…참여 기업·관람객 전년대비 증가
안종주 “재정·기술지원, 중기 중점…안전문화 확산, 사회 전반 변화 필요”
KakaoTalk_20230705_182926240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안전보건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한 업체의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사진=김성서 기자)

“예년에 비해 점점 스마트 안전 기술을 활용한 산재 예방으로 진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듯 합니다. 특히 통신사들에서 많은 첨단 통신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이 부분은 우리나라가 선두에 있지 않나 생각되네요”

안종주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안전보건전시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독일 등 유럽국가에서도 큰 안전 박람회가 많이 열리지만, 방호 기구나 옷 등 물품에 특화 된 것 같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감지 기술이나 데이터, AI, 로봇 등 우리는 스마트 안전 기술에 특화돼 있어 이러한 기술이 많이 시연되는 듯 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전시회는 2023년 산업안전보건의 달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7월 한달을 ‘산업안전보건의 달’로 정해 생명과 안전을 강조하는 행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지난 3일 산업안전보건의 날 기념식을 시작으로 오는 7일까지 국제안전보건전시회, 안전보건 세미나·우수사례 발표, 국민 참여 행사 등 중앙행사가 진행된다. 7월 둘째 주 부터는 전국의 산업 현장에서 대중소 상생협력, 위험성 평가 확산 등 권역 단위 행사가 이어진다.

1688534429004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안전보건전시회에서 안종주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사진 오른쪽)이 설명을 듣고 있다.(안전보건공단 제공)

이날 전시회에는 SK텔레콤, 포스코DX, 3M 등 안전 관련 기업 220곳이 820개 부스를 마련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었다. 이는 지난해(180개 기업·750개 부스)보다 늘어난 것이다. 관람객 숫자 역시 증가 추세를 기록하고 있는데, 행사 이틀째 기준 지난해에는 1만2205명의 관람객이 찾았지만 올해는 1만4140명의 관람객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안 이사장은 “내년 1월부터 50인 미만 사업체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되는 만큼 해당되는 기업들도 관심이 많은 듯 하다”면서 “전시회뿐만 아니라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한 자기규율 예방체계와 관련한 세미나 등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찾은 행사장에서는 전면형 안전 방진 마스크부터 드론을 활용한 통신탑 점검, 사족 보행 로봇을 통한 산업현장 내 위험 감지, AI기술을 활용한 쓰러짐·위험상황 감지, AI 바탕 근로자 안전장구 확인 장비,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 측정을 위한 투척형 측정장비 등 다채로운 안전 장비와 기술이 소개됐다. 또 노동부와 공단이 공동으로 마련한 안전보건콘텐츠 체험관 등도 마련돼 VR을 활용한 콘텐츠로 건설현장 안전 체험을 진행할 수 있다.

KakaoTalk_20230614_151544168_03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안전보건전시회에서 한 관람객이 안전보건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사진=김성서 기자)

공단은 앞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 안전기술을 확산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안 이사장은 “재정적인 지원이나 기술 지원 등 모든 초점은 중소기업에 맞춰져 있다. 대기업은 재정과 능력이 있어서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간소화된 위험성 평가에 대한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도 “큰 규모의 기업은 규모와 사업장에 맞는 위험성 평가를 이미 실시하고 있다. 중소 사업장에게 대규모 사업장과 같이 고도화되고 복잡한 위험성평가를 하라고 하면 포기해 버릴 것”이라며 “중소 사업장에서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실제로 경험을 하도록 한 뒤 점차 늘려가야 할 것이다. 업종 등을 구분한 평가 기준과 활용 사례집 등을 만들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 안전장비나 위험성 평가 도입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의 안전문화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그는 “안전문화 실천 추진단과 연계해 점점 안전문화를 확산해 가야한다. 수십년동안 규제와 제도를 정비했지만, 사망사고만인률을 끌어내리지는 못했다”면서 “이번에는 문화적 요소를 도입해 안전문화를 정착해야 한다고 본다. 안전문화는 긴 호흡이 필요한데, 결국 사람의 행동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례로 지게차 후진사고의 경우 후방 카메라나 센서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간단하게 한번 뒤를 돌아보면 된다. 1~2초만 살펴봐도 사고가 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런 사고는 선진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며 “근로자의 안전의식뿐만 아니라 사업주의 인식, 원하청의 다단계적 사업구조 변화 등 사회 전반적인 구조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안전과 보건 문제는 입법, 사법, 정부, 민간 기업, 근로자 모두가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성서 기자 bible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