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물 산업 강국 만든다”

조택영 기자
입력일 2022-01-24 15:51 수정일 2022-01-24 15:52 발행일 2022-01-24 99면
인쇄아이콘
초순수 국산화·스마트 관리체계 마련 등 정책방향 제시
환경부
이영기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이 2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통합물관리 비전 및 3대 중점 추진 목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

정부가 초순수 등 물 산업 원천기술을 국산화 하고, 수량·수질·수생태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체계를 마련하는 등 물 산업 강국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환경부는 24일 강원 춘천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열고 2022년 하천관리일원화 이후 환경부의 물 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에 발표한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세계 최고의 스마트한 물 △모든 세대와 생명을 위한 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물 등을 역점 과제로 내놨다.

우선 2025년까지 반도체용 초수순수 생산 기술 100% 국산화를 실현하기 위해 실증 플랜트(2400톤/일)를 구축하고 핵심 장비 개발을 추진한다. 이와 더불어 2025년까지 공정 운영 기술 및 문제해결 역량을 축적한 270명의 관련 전문 인력(학·석사)을 양성한다.

2025년부터는 초순수 일 5만톤을 생산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는 등 해외 초순수 시장 진출의 원동력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또 2030년까지 세계 최소 수준의 소재·부품·장비 20개 품목을 육성, 미국·유럽 등 선진국 물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물 재해의 사전 예측 및 맞춤 대응 시스템도 구축한다. 2025년까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속 예보체계 전환을 목표로, 강우레이더 등 관련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5대강(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댐과 하천 정보를 디지털상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홍수와 가뭄을 사전에 예측·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말까지 하천 배수시설 1982곳을 하천·내수 수위에 따라 원격으로 자동 조작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또 내년까지 국가하천 73개 3600km 구간 2820곳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홍수 등 하천 상황을 관리한다.

2025년까지 스마트 댐 안전관리 체계를 완성, AI를 활용해 댐의 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사전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내년까지 전국 161개 지자체와 31개 광역 취수장, 43개 광역 정수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 체계를 마련, 실시간으로 먹는 물의 수량과 수질을 감시·제어해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지표수 및 토양·지하수 측정망을 연계한다. 지하수량 고갈 우려 지역을 세분화해 지하 수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수량·수질·수생태 등이 어우러진 하천 관리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한다.

2025년까지 국가하천 치수안전도 향상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국가하천에 대해 우선순위를 선정, 물 관리 예산을 집중 투입해 명품하천의 성과를 조기에 가시화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재정자립도가 낮은 수도사업자를 통합해 먹는 물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는 등 차별 없는 물 복지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환경부는 물 관리와 정보통신·디지털기술의 접목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한 물 관리를 실현하고, 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극대화해 재해의 사전 예방으로부터 물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물 가치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조택영 기자 cty@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