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양자 역량 결집’ 양자기술특별위원회 본격 시동

조택영 기자
입력일 2021-11-16 14:51 수정일 2021-11-16 15:04 발행일 2021-11-16 99면
인쇄아이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제1차 양자기술특별위원회 개최
내년 양자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 699억원 편성
20211116_144729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양자기술특별위원회.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첨단 전략기술의 핵심인 양자기술 선점을 위해 발족한 양자기술특별위원회(이하 양자특위)의 첫 회의가 열렸다. 양자특위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민·관 합동 위원회로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등 기술 개발을 통해 기술패권 경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양자특위 제1차 회의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위원회에는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 센서, 양자 기초 등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 11명과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국방부, 방사청, 국정원 등 6개 부처 정부위원을 포함해 총 19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장은 이경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맡았다.

또 안건의 심층적 검토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위원회를 운영하고, 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재외과학자도 특별자문으로 참여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첫 회의다 보니 핵심적인 정책이나 전략을 발표하는 것보단 앞으로 위원회에서 어떤 안건을 다룰지 등 운영 방향을 잡고, 국내 현황에 대해 살펴보는 게 중심”이라며 “본격적인 정책에 해당되는 것은 내년부터 기대할 수 있겠다. (양자특위는) 분기별로 한 번씩 개최를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과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사활을 건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방국 중심의 기술 결속(기술 블록화)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자기술,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5G·6G) 등 첨단 전략기술 선정과 관련 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첨단전략 기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첨단 전략기술의 핵심인 양자기술 선점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지난 4월 ‘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 신설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양자특위는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가 큰 양자 기술의 경제·산업·안보적 활용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민·관 합동 위원회로서 의미가 크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번 1차 위원회에서는 ‘양자특별위원회 운영계획안’을 심의하고, ‘우리나라 양자기술 지원 현황’이 보고됐다.

양자기술특별위원회 운영계획안에서는 양자특위의 운영 방향을 크게 3가지로 제시됐다. △전 분야에서 신속한 양자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기술·산업·안보 관련 범부처의 이해도를 높이고 △양자산업 태동기인 현 시점에서 기술 확보와 활용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을 마련하며 △민·관이 협력해 대규모 양자기술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하고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 양자기술 지원현황에서는 우리의 기술수준과 현황을 살펴보고 내년 이후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의 양자기술 수준은 양자기술 최선도국 대비 81.3% 수준이다. 특히 양자컴퓨팅 기술은 71.8% 수준으로 타 ICT 기술(이동통신 97.8%, 인공지능 87.4%, 2019 ICT 기술수준조사) 대비 현격히 낮아 기술 격차를 빠르게 줄여 나가는 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양자기술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으로 699억원(정부안, 전용사업 기준)을 편성했으며, 이는 지난해(328억원)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지난 4월 발표된 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전략에 따라 내년부터 국내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 양자인터넷원천기술개발이 새롭게 착수된다. 또 양자기술을 첨단 산업분야에 개발하기 위한 산업 타겟형 양자센서 및 국방용 원격·정밀 탐지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양자기술분야 국제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도 크게 확대될 예정이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양자기술은 우리 미래 산업·안보의 판도를 바꿔놓은 파괴적 혁신기술인 만큼 투자 전략도 과거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면서 “다양한 양자기술 유망 분야를 폭넓게 지원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씨앗기술이 나타났을 때 선택과 집중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 기술개발 이후 산업화를 추진하는 단선적 발전전략이 아니라,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사선형적 발전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자특위를 중심으로 민·관이 머리를 맞대 양자기술 인력양성, 기술 로드맵, 산업·안보 활용방안 등 전략을 마련하고, 양자기술 확보를 위한 총력전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세종=조택영 기자 cty@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