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사용량’ OECD 3위인 한국…2025년까지 20% 감소 목표

조택영 기자
입력일 2021-11-07 14:48 수정일 2021-11-07 15:03 발행일 2021-11-07 99면
인쇄아이콘
복지부,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수립
항생제 자료사진[위키피디아 제공]
항생제. (연합)

지난 2019년 국내의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정부는 항생제 내성균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2025년까지 인체 항생제 사용량과 비인체(축·수산) 항생제 판매량을 지금보다 각각 20%, 10% 낮추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와 감염병 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현재 26.1디아이디(DID·인구 1천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에서 2025년 20.9디아이디로 20% 줄이고, 비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1년 동안 가축 1kg(PCU)당 217mg에서 2025년 195mg으로 10%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국내의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26.1디아이디로 OECD 29개국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는 9.5디아이디, 핀란드 14.7디아이디, 이탈리아 21.7디아이디, 스페인 24.9디아이디 등이다.

비인체(축·수산) 분야 항생제 사용량도 마찬가지다. 지난 2017년 사이언스에 따르면, 한국의 축산물생산량 반영 항생제 사용량은 PCU당 188mg으로 일본 78mg, 덴마크 28mg 등 주요 국가와 비교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는 감염병 치료제로,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 출현과 확산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농·축·수산, 식품, 환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전파되기 때문에 범부처 대응이 필요하며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 과정에서 확산할 가능성이 높아 국제공조가 필수적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감시체계를 강화해 이미 발생한 항생제 내성균의 지역 사회 확산을 억제하겠다고 밝혔다. 관련부처 간 항생제 내성균 공동 연구를 통해 항생제 내성균의 실태를 조사하고, 전파 양상을 규명하는 등 연구 개발이나 관련 협력 체계도 활성화할 방침이다.

세종=조택영 기자 cty@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