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인명구조 로봇’ 시각인지 AI 알고리즘 개발

조택영 기자
입력일 2021-09-14 10:33 수정일 2021-09-14 10:40 발행일 2021-09-14 99면
인쇄아이콘
사진
왼쪽부터 전해곤 교수(광주과학기술원), 임성훈 교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 권인소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사진=GIST)

재난 현장을 모사한 대규모의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현장에서 피해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와 이목이 집중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AI대학원의 전해곤 교수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임성훈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권인소 교수,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재난 구조 로봇의 시각인지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대형재난 대응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 재난 구조 관련 연구들은 산업적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재난 구조 업무에 획기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관련 연구를 위한 데이터 셋 부족과 개발된 알고리즘을 검증할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아 관련 연구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또 재난 현장 데이터 셋은 취득이 어렵고, 일부 취득한 데이터 셋도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을 위해 주석화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공동 연구팀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재난 현장을 모사한 대규모의 데이터 셋을 제안했다. 실내외 가상환경에서 지진과 화재현장을 연출했다. 재난 전·후 상황을 같은 공간과 시점에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영상을 획득했고, 3차원 정보와 카메라 위치 정보 및 의미론적 영상 분할 정보를 주석화했다.

더불어 재난 현장에서의 피해자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재난 전 상황에서 학습된 공간 정보를 바탕으로 재난이 발생한 상황에서 피해자의 위치를 단일 영상만을 이용해 추론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전해곤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가상현실 공간의 재난 상황을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재난 구조 로봇의 시각인지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제안했다”면서 “이번 연구가 향후 다양한 재난 구조 연구를 촉발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광주과학기술원 전해곤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재난 현장 구조와 인도적 지원을 위한 차세대 로봇 원천기술 한·미 공동연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는 컴퓨터과학-인공지능 분야 상위 0.3% 논문인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에 지난 7월 7일 온라인으로 게재되기도 했다.

조택영 기자 cty@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