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포스코 등 남북경협TF '시계 제로'…'존폐 기로에'

박종준 기자
입력일 2020-06-17 13:31 수정일 2020-06-17 15:12 발행일 2020-06-18 3면
인쇄아이콘
2018110701000603300027101
정몽규 HDC 회장(위원장)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장을 비롯 롯데·신세계·CJ·KT·한라·대우건설 등 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난 2018년 11월 공식 출범한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 (사진=브릿지경제DB)

현대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추진 중인 남북경제 협력사업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2년째 ‘공회전’을 거듭하며 존치와 폐지의 갈림길에 처했다.

17일 현재 포스코·삼성물산·현대건설·포스코·GS건설·현대그룹 등 기업들의 남북경협 TF 대부분은 출범 2년을 넘긴 지금까지 제대로 가동조차 못하고 있다. 이는 사업 재개의 열쇠인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를 면치 못하고, 남북관계가 급속히 냉각되었기 때문이다.

북한 인프라 사업과 관련한 7개의 사회기반시설(SOC) 독점 사업권을 보유한 현대그룹의 ‘남북경협 TF’는 유지는 되고 있지만, 현재 이렇다 할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전담 계열사인 현대아산은 개성공단과 금강산국제관광특별지구(이하 금강산지구) 내에 다수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 북 측이 전날 개성공단 내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 군병력 투입을 시사함에 따라, ‘사업 시계’가 1998년 이전으로의 회귀가 임박한 상황이다. 현대그룹이 개성공단과 금강산지구에 투자한 금액은 1조5000억원에 달한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또다시 이전으로 회귀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우리는 그때나 지금이나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사명감을 갖고 묵묵히 준비하고 있다”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2020060901000454600020141
지난 2018년 11월 금강산국제관광특구 모습.(사진=특별취재단 박종준 기자)

‘북방사업지원 TF’라는 이름으로 남북경협 사업을 추진 중인 대우건설도 최근 해당 부서의 인원을 8명에서 4명으로 줄이고 사업 지속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 볼 때 현재는 북한 관련사업을 할 수 없는 상태”라며 “해당 부서를 유지하며 공부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라고 전했다. 다만, 대우건설은 ‘4.27 판문점 선언’을 기점으로 재착수한 경원선 우리 측 구간 사업은 현재 현대건설 등과 함께 진행 중이다.

롯데그룹이 남북경협을 중심으로 중국, 러시아 등 북방지역 경제사업을 위해 설립한 ‘북방 TF’는 형태와 인력 등은 유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제약으로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그룹 역시 “특별히 어떤 프로젝트나 사업을 할 상황이 아니다”면서 “예의 주시하며 모니터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자원개발 △도로 및 철도, 전력 등 인프라 사업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를 기대했으나, 남북경협 사업이 ‘개점휴업’ 상태를 면치 못하면서 TF 운영 여부를 놓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가 그대로 이어지면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결국 국내 남북경협 사업 추진 기업들의 피로감이 점차 누적되면서 관련 조직의 존치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종준 기자 jjp@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