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지역사회 감염 현실화됐지만…방역 대응 한계 뚜렷

송영두 기자
입력일 2020-02-04 06:00 수정일 2020-02-04 06:00 발행일 2020-02-04 5면
인쇄아이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지역사회 감염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정부가 중국 여행객 입국금지, 음파병실 추가확보 등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현장 곳곳에서는 방역 대응에 한계가 노출돼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4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등 감염병 환자 격리 입원 치료가 가능한 감염병관리시설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전국 29개 병원, 535병상이 구축돼 운영 중이다.

굳게 닫힌 인천의료원 음압병실
굳게 닫힌 인천의료원 음압병실.(사진=연합)

이중 병실 기압을 외부보다 낮게 설정해 감염균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음압병실은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에 총 198병상이 운영되고 있다. 이 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이 아닌 지자체가 지정한 53개 병원, 189병상과 설치가 의무화 된 300병상 이상 대형종합병원 77개소, 460병상까지 합하면 총 847개 음압병상이 확보된 상태다.

하지만 일부 음압병실은 시설이 노후되거나 독립된 공간이 아닌 임시 공간에 마련된 탓이 감염병 전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으로 분류된 강원대병원과 강릉의료원을 제외한 강원도내 병원들의 음파병상은 임시 시설로 운영돼 완벽한 격리가 이뤄지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목포병원도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을 운영하고 있지만 의료진과 환자 출입문이 따로 설치되야 함에도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방역 핵심인력인 역학조사관 인력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학조사관은 역학조사를 통해 전염병 확산을 막는 방역 대책을 세우는 현장 전문가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현재 활동 중인 역학조사관은 질병관리본부 소속 77명, 시도 소속 53명 등 총 130명이다. 이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34명 대비 약 4배 증가한 수치지만 인구 규모나 감염병 발생 건수 대비 턱없이 모자란 수치다. 특히 질병관리본부 내 감염내과 전문의는 고작 2명에 불과하고 출입국 시설인 공항과 항만에 설치된 전국 13개 검역소에는 감염내과 전문의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학교도 비상이 걸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사태에 대응할 보건교사가 태부족하기 때문이다.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약 2000여개 학교에 상근 보건교사가 아닌 순회 보건교사가 근무하는 실정이고, 이 마저도 전북을 비롯 전남, 강원 등 지방은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에도 학생수 1000명이 넘는 학교에 보건교사는 단 1명으로 응급상황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김 의원은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 발생 시 학교 내 대응 주체가 모든 구성원으로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감염병 대응 업무에 보건교사 의존도가 높다”며 “학교 내 감염병 확산방지 1차 대응 역할을 하고 있는 보건교사 인력부족으로 학생은 물론 학부모들이 코로나바이러스 위험 속에서 불안감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송영두 기자 songzio@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