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시티 기본 구상안 발표…세종·부산시 '탈바꿈'

이연진 기자
입력일 2018-07-16 15:56 수정일 2018-07-16 16:11 발행일 2018-07-17 2면
인쇄아이콘
스마트시티 가상체험<YONHAP NO-3103>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오후 상암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정부가 세종시와 부산에서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공개했다. 한 관계자가 행사장에 마련된 부산 스마트 에코델타시티 부스에서 가상공간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

세종시와 부산시가 규제 없는 스마트시티(IT기술집적도시)로 거듭난다. 세종 5-1 생활권은 용도지역에 기반한 도시계획의 틀을 깨고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로 거듭난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물과 수변공간을 활용한 ‘친환경 물 특화 도시’로 탈바꿈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상암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시범도시 마스터플래너(MP), 유관부처 및 지자체(세종·부산시), 사업시행자(LH·K-Water)와 함께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국가 시범도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기술을 접목해 창의적인 사업모델이 구현되는 혁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 1월부터 정부가 혁신성장 사업 중 하나로 중점 추진 중이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4차산업혁명 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국민, 기업 등의 참여에 기반해 ‘사람중심의 스마트시티’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의 주요 내용에 따르면, ‘세종 5-1 생활권’은 MP의 철학을 담아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또한 우리나라 도시 및 세종시 고유의 문제점을 면밀하게 분석해 시민 행복을 위한 7대 혁신 서비스를 도출했다. 이중에서도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등 4대 핵심요소를 별도로 강조했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시범도시의 비전으로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를 제시했다. 기존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미래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주요 추진방향으로는 ‘3대 특화전략’을 제시했다.

3대 특화전략 중 첫 번째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출신 MP의 철학을 반영해 구상한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Smart Tech City)’다.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 테크 샌드박스 운영 등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의 시범도시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신성장 산업 기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두 번째로, 에코델타시티를 둘러싼 물과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해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친환경 물 특화 도시(Smart Water City)’를 제안했다. 시범도시 내 3개의 물길이 만나는 세물머리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수자원 관리와 하천 재해예방을 위한 스마트 상수도·빌딩형 분산정수·수열에너지·에코필터링·저영향개발(LID) 등 물 관련 신기술을 접목한 한국형 물순환 도시 모델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VR·AR 및 BIM 기술, 3D 맵 기반의 가상도시를 구축해 도시 계획-건설-운영·관리 단계에서 온라인 의견수렴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Smart Digital City)’도 제안됐다.

정부는 시범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다양한 주체의 참여가 필수적인 만큼, 기본구상 발표를 계기로 민간기업과 시민의 참여기회를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기존과 같은 공공사업 시행자의 발주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기업의 시범도시 투자를 위해 컨소시엄 구성 및 SPC 설립과 같은 다양한 참여기회를 마련한다. 더불어 최저가 낙찰제에서 탈피해 혁신적인 제품·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적정가격 최상물품 입찰이나 경쟁적 대화방식 등 다양한 구매방식도 활용할 계획이다.

손병석 국토부 제1차관은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은 추후 민간기업과 시민, 전문가의 의견을 폭 넓게 수렴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의의를 지닌다”며 “앞으로 기본구상을 보완·발전시켜 공공·민간 등 주체별 역할 등을 구체적으로 담은 시행계획을 연내 마련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연진 기자 lyj@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