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앞둔 '커뮤니티케어'… ‘전문 인력’ 없어 공염불 우려

노은희 기자
입력일 2018-07-23 06:20 수정일 2018-07-23 09:16 발행일 2018-07-23 99면
인쇄아이콘
부채는 필수
어르신들이 부채질을 하며 그늘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는 모습 (연합)

정부가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해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커뮤니티케어’가 전문 인력의 부재로 출발부터 벽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커뮤니티케어란 돌봄(care)이 필요한 주민이 병원과 시설이 아닌 자택이나 그룹 홈 등 지역 사회(community)에 거주하며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사회 서비스를 통칭한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역별 팀 체계로 구성되는 커뮤니티케어는 지역 내 건강증진·방문보건 업무 및 사회복지 업무 등을 동시에 효과적 수행을 위해 분야별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즉 커뮤니티케어의 수행을 위해서는 공중보건 및 의료분야의 역할 분담에 따라 의사·간호사·영양사·물리치료사·사회복지사 등 지역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건강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 의료인간 협업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 의료시스템은 의료인력이 절대 부족할 뿐 더러, ‘급성·응급질환 중심’·‘수도권 대형병원 중심’으로 지역별 전문 인력과 인프라의 편차도 심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임상 의사는 인구 1000명당 2.3명으로 가장 적으며, 임상간호사도 인구 1000명당 6.8명으로 OECD 평균 9.5명보다 2.7명 적었다.

이 같은 국내 현실에서 전문가들은 커뮤니티케어 실행을 주도할 전문인력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먼저 커뮤니티케어의 중심인 일차의료의사(GP, general practitioner)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의사 수련구조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과 건강관리에 관해 의사들이 포괄적인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LH 노사, 농촌마을 의료봉사 활동
농촌마을 의료봉사 활동.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제공=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관계자는 “일차의료기반구성과 여론 형성 등 기본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의대·간호대 제휴 및 의원급 종사자들의 일차보건의료에 관한 교육과 수련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약물· 만성질환 관리 및 개별 건강 교육 등 전문 교육을 받은 일차의료의사의 진료로 과잉진료와 지역별 의료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급성·응급 질환 병원중심 간호에 치중해 있는 간호사 인력의 개선을 위해서 전문적인 케어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과정의 개발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희걸 가천대 간호대학 교수는 “오래전부터 1차 의료가 안착된 영국의 경우 돌봄인력 등급(level 1-8)에 따른 교육제도, 역할, 책임, 필수역량이 구체적으로 개발 돼 있다”며 “이처럼 1차 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간호인력들에 대한 체계적 교육틀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 밖에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지역별 필요한 전담 인력들의 배치를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6월 ‘커뮤니티케어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지역사회 중심 건강관리 체계 강화를 위해 오는 9월부터 중증소아환자 재택의료 시범사업, 동네의원 중심 만성질환 관리 강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보건소) 등을 추진하고 있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