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이 아닌 ‘진학’으로 바뀐 ‘직업계고’

노은희 기자
입력일 2018-06-03 16:42 수정일 2018-06-03 16:43 발행일 2018-06-04 17면
인쇄아이콘
특성화고졸업생노조 출범
지난 1일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노동조합 설립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

직업계고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선취업후진학’에 대한 강력한 의지에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률은 높아지고 있지만, 기업 현장에선 학벌 중심, 열악한 환경 및 고졸에 대한 편견으로 ‘퇴사 후 진학’이 많아지고 있어서다.

3일 교육부 ‘2017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에 따르면 직업계고 졸업 뒤 곧바로 취업을 선택한 비율은 50.6%로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들의 취업처는 중소기업 비율이 높았으며 근속연수도 짧았다.

잡코리아가 지난 3월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졸자가 첫 직장으로 중소기업 취업이 67.8%로 가장 높았고, 첫 직장에서 지금까지 근무하는 직장인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2년 이상 근무 후 퇴사가 28.4%로 가장 많았다. 취업 후 이들에 대한 관리 필요한 이유다.

직업계고 교사들과 학생들 대부분 취업 후 현장의 문제점을 토로했다.

전국특성화고졸업생노조 이은아 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고졸’이라는 뿌리 깊은 편견 때문에 차별이 일상화 됐다”며 “졸업 후 학교를 벗어나 직장인이 되면 ‘고졸사원’의 권익은 아무도 지켜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특성화고 교장도 “능력이 좋은 특성화고 출신 학생들이 많은데 취업 2~3년 후 기업 내 학연의 중요성 및 고졸에 대한 편견의 한계를 못이긴 채 사표를 내고 다시 대학으로 진학을 하는 일들이 많다”며 안타까움을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사회적으로 학력에 따른 평가와 직업 교육의 질적 문제를 지적했다. 임운택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현장에서는 아직도 대졸자들이 승진혜택을 보는 경우가 많아 직무에 맞는 능력평가 시스템이 빨리 자리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업훈련에 대한 재점검과 관련산업에서 직무와 관련된 평가가 제대로 진행돼야 직업계고의 특성을 제대로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