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서울생활권계획’ 본격 가동…강북·강서에 상업지역 확대

강진 기자
입력일 2018-03-07 11:08 수정일 2018-03-07 15:42 발행일 2018-03-08 18면
인쇄아이콘
서울시 생활권계획 5대 권역
서울시 생활권계획 5대 권역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서울시는 ‘2030 서울플랜’의 후속으로 마련된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8일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7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으로 시는 서울 전역을 5개 권역·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세분화한다. 각 지역의 자족성 강화와 균형발전을 유도한다는 취지다.

5개 권역은 동남권(잠실·강남 일대), 동북권(창동·상계·청량리·왕십리), 서남권(영등포·여의도·가산·마곡), 서북권(상악·수색), 도심권이다. 각 생활권 계획은 7개 이슈를 통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항목별로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이다.

특히 시는 2030년까지 중심지 상업지역 총 192만㎡을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롤 삼는다는 계획이다. 유보 물량을 제외한 신규 상업지 배분 물량 134만㎡ 중 44%(59만㎡)를 강북·노원·도봉구 등 동북권에 배분한다. 강서·구로·금천 등 서남권에는 상업지역 40만㎡가 지정된다. 신규 상업지 물량의 74%가 강북·강서에 지정되고 동남권과 서북권에는 각각 17만 17만㎡, 18만㎡가 지정된다.

서북권의 상암·수색은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한다. 동북권 청량리역에는 복합환승역사를 만들어 교통·상업 중심지로서 기능을 강화한다. 서남권 가산G밸리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 거점으로 육성한다. 신촌 일대는 대학과 연계한 청년창업 거점으로, 상일동 일대는 첨단 업무단지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로 키운다.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향후 서울시의 모든 관련·하위 계획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주거시설이 낙후됐거나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생활권 중 2~3곳을 연내 시범지역으로 선정, 이슈별 목표와 실천전략의 실제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생활권 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진 기자 jin90g@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