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여론에 백기 든 '절대평가'… '변별력 확보'가 관건

최수진 기자
입력일 2017-08-31 15:20 수정일 2017-08-31 16:15 발행일 2017-09-01 18면
인쇄아이콘
고개숙인 김상곤 부총리
31일 오전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개편 1년 유예 발표 전 인사하고 있다.(연합)

교육부가 31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 확정을 1년 유예키로 한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변별력 확보 방안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수능개편 관련 논란은 지난 10일 교육부가 마련한 2가지 절대평가 확대안에서부터 시작됐다. 교육부는 당초 2021학년도 수능을 국어와 수학, 탐구영역은 상대평가를 유지하되 나머지 4과목에 절대평가를 적용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2안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의견 수렴을 위해 4차례 공청회를 열었지만 2가지 시안은 수능 변별력이라는 벽에 부딪쳤다. 이날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한 것 역시 변별력 약화로 인한 수능이 대입 전형자료로의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컸기 때문이다.

1안에 대해서는 현행 수능과 별반 다를 바가 없고 국어와 수학 등 상대평가 과목으로 쏠림 현상을 일으킨다는 비판이 쏟아졌고, 2안에 대해서는 수능 변별력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교육부가 개편 시안 발표 직후인 지난 11일 마련한 공청회에서도 이런 지적이 나왔다. 송현섭 도봉고 교감은 “수시전형 비율이 74%, 정시 비율이 26%인 현 시점에서 보면 수능은 학생 선발도구로의 수명을 다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하지만 수능을 대체할 합리적 평가도구가 없고 (전 과목을 절대평가할 경우) 면접 등 교육현장에 부담을 주는 새로운 선발 방법이 생길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론 수렴 과정의 투명성과 대 국민 소통 여부를 놓고도 적지 않은 논란이 일었다. 교육부는 교육주체를 비롯한 각계와 충분히 소통했다고 했지만 시안 발표 이전 본격적인 의견 수렴 기간은 7월14일부터 31일까지 단 2주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에 교육부가 수능의 변별력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교육부는 이날 2022학년도 수능과 고교체제 개편 등 폭 넓은 교육개혁 방안을 내놓고 공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학생부종합전형은 교사추천서 등 학생·학부모·교사의 부담을 유발하는 요인을 찾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수능개편을 위해 고교, 대학, 학부모, 정부 등 다양한 교육주체가 참여하는 ‘대입정책포럼’을 꾸려 새 정부 교육개혁 방향도 논의해 고교학점제, 내신 성취평가제, 고교교육 정상화 방안 및 대입정책 등을 포괄하는 ‘새 정부의 교육개혁 방안’을 내년 8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최수진 기자 choisj@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