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치않게 첫 직장 떠나는 청년 비자발적 이직자 '역대 최다'

최수진 기자
입력일 2017-07-23 16:18 수정일 2017-07-23 16:22 발행일 2017-07-24 2면
인쇄아이콘
취업박람회 면접보는 청소년들
지난 20일 서울 은평구청에서 열린 '2017 은평 특성화고·청년 취업박람회'에서 고교생 참가자들이 참가 업체 면접을 보고 있다.(연합)

수백대 일의 경쟁률을 통과해 취업했지만 직장이 폐업하거나 임시로 맡던 일이 끝나 자기 뜻과 상관없이 이직하는 청년이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임시적·계절적인 일이 끝나거나 계약 기간이 완료된 경우와, 직장 휴·폐업·파산 등으로 첫 일자리를 그만둔 청년(15~29세)은 37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4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많은 것이다.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는 2012년 27만8000명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33만4000명으로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데 이어 2년 연속 최고치를 새로 썼다.

반면 전체 청년 이직자는 줄어들고 있다. 첫 직장을 떠난 청년은 2004년 355만9000명에서 2009년 292만1000명, 올해 257만4000명으로 떨어졌다. 이같은 변화는 이 연령대 인구가 2004년 1014만1000명에서 지난해 942만8000명으로 감소한 탓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학업, 취업 준비로 취업을 미루며 취업을 경험한 청년들 자체도 줄어들고 있는 영향까지 겹쳤다.

청년 이직자는 줄어드는 반면 비자발적 이직자는 늘다 보니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비율은 올해 14.5%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 비율은 2006년 8.4%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점차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09년 10.9%로 처음으로 두 자릿수에 진입한 뒤 2013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가 늘어난 이유는 실업 상태를 피하려고 일단 계약직으로 들어갔다가 계약이 끝나면 이직하거나 최근 들어 기업들이 정규직 대신 계약직 인턴 형태로 신입 직원을 고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 임시적·계절적인 일이 끝나거나 계약 기간이 만료돼 이직했다는 청년은 31만1000명으로, 1년 전 26만4000명보다 17.8% 증가했다. 2004년 18만8000명과 비교했을 때 1.7배나 늘어난 셈이다.

반면 직장 휴·폐업, 파산에 따른 청년 이직자는 6만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9%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거리가 없거나 회사 사정이 어려워 권고사직을 당하는 경우 등이 비자발적 이직으로 볼 수 있다”며 “비자발적 이직자 발생은 주로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설명했다.

최수진 기자 choisj@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