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유종의 미 위해 '워싱턴 에러' 2가지 조심

김희욱 국제전문기자
입력일 2017-03-26 11:04 수정일 2017-03-26 15:20 발행일 2017-03-26 17면
인쇄아이콘
"트럼프가 다 알아서 해 줄 것" 흔들리면 주식, 외환, 채권, 상품시장 모두 타격 불가피
clip20170326102726
재닛 옐런 연준의장(좌) / 스티브 므누신 美 재무장관(우), AP통신

지난 11월 미 대선 직 후 시동이 걸린 ‘트럼프랠리’는 일단 수명이 다했다는 것이 월가의 시각이다. 

지난 4개월을 달려온 트럼프랠리의 가장 큰 세가지 특징으로 꼽혔던 ‘달러-주식’, ‘채권금리-인플레’ 그리고 ‘금융주-상품시장’의 동반강세가 모두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물론 중간에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이 두 차례 단행됐으나 이미 사전에 충분히 예상된 재료였던만큼 트럼프랠리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한 것은 아니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리서치는 회사채 금리가 과도하게 상승하면서 ‘하이일드(고금리 비우량 회사채)’ 시장에 타격이 전해졌고 이는 결국 국제유가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美 실물경제에서 가처분 소득과 물가에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국제유가의 하락은 결국 인플레 전망 하향으로 이어졌다.

도이체방크는 결국 이 모든 것이 ‘양대 워싱턴 에러’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한 가지는 당연히 트럼프 노믹스의 불확실성이고 다른 한 가지는 갑자기 ‘인플레 전망 하향’이라는 변수를 맞게된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이다. 참고로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연방준비제도(Fed)도 백악관에서 세 블록 떨어진 워싱턴 D.C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이체 방크에서 주의를 당부한 두 가지 ‘워싱턴 에러’는 다음과 같다.

첫 째는 당연히 트럼프 정부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다. 신임대통령과 백악관 길들이기에 돌입한 공화당은 오바마케어를 대체할 트럼프케어 즉 건강보험개혁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다. 이에 야당인 민주당은 ‘강 건너 불 구경’ 하는 심정으로 사태를 지켜보고만 있다.

만일 트럼프케어 의회통과가 무기한 연장되거나 부채한도 증액도 함께 닥칠 상하원이 개장휴업 상태에 돌입할 경우 시장참여자들에게는 큰 혼란이 불가피하다.

트럼프 당선 후 내내 기정사실로 여겨왔던 세제개편·월가규제완화·재정부양 등 트럼프노믹스 3대 핵심공약을 ‘호재’에서 갑자기 ‘리스크’로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지난 4개월여에 걸친 트럼프랠리 동안 미리 가격반영(Priced-in)돼 있던 상승분은 일부 혹은 전부 반납이 불가피하다.

clip20170326104811
미국채10년물금리, 블룸버그 인터넷판 캡처

사실 트럼프 당선 후 미국채에 대한 대량매도세(금리 급등)가 최근 되돌림(금리 급락)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역시 트럼프노믹스에 문제가 있다는 시장의 반응이라고 한다.

두 번째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에러 가능성이다. 당시 트럼프 당선 한 달 후 였던 지난 12월 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년만에 첫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하지만 시장은 이를 ‘충분히 예상됐던 일’ 이라며 무리 없이 소화해 냈다.

그로부터 정확히 3개월 후인 올 해 3월 15일, 연방준비제도는 금리를 추가 인상했다. 회의 직 후 기자회견을 가진 옐런 의장의 표정에서 지난 8년간 끈질기게 시장의 편에서 소통을 맡아온 비둘기파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지만 당일 다우지수는 113포인트 상승마감했다.

문제는 이처럼 매파적 날갯짓을 시작한 연방준비제도와 함께 호흡하는 시장이 ‘트럼프’라는 에너지원을 잃어버릴 경우 과연 시장이 전처럼 의연하게 버틸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주식시장 뿐 아니라 외환, 채권, 상품시장 모두 공통적으로 겪어야 할 ‘홍역’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도이체 방크의 분석이다.

김희욱 국제전문기자 hw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