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기둔화 공식화 '연봉 가이드 라인' 꺾여

김희욱 국제전문기자
입력일 2016-12-07 07:24 수정일 2016-12-07 15:09 발행일 2016-12-08 19면
인쇄아이콘
주요 공단지대 작년대비 3~5% 임금 인하
clip20161207065251
中 2016 지역별 연봉 가이드라인

중국의 관영언론 환구시보는 ‘올 해의 연봉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는 각 지역 기업 인사담당자들에 대한 일종의 참고자료로 강제성은 없지만 내년도 근로자들의 연봉을 책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19개 지역 그 중에서 주요 공단지대가 위치한 장시성·허베이성 등의 임금이 3~5% 가량 하향돼 각계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최근 경기둔화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셈’이라는 반응이다.

또한 임금하락률이 1%로 비교적 적은 상해와 베이징 등 대도시 지역은 그만큼 신용자산의 비중이 높아 이 또한 추후 경기하방 압력이 배가 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중국 산업관계 연구소의 왕 장성 교수는 최근 몇 년만에 처음 연봉 가이드라인이 내려간데 대해 숨은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2007년 중국의 노동법이 근로자의 권익향상 측면에서 개정된 후 바로 이들의 임금인상률이 중국 경제성장률을 너무 앞서 가 버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다 걱정스러운 것은 중국 소비의 중요한 '바로미터'가 되는 근로자들의 임금이 이렇게 내리막길로 접어든 상황은 이제 긴 여정의 시작일 뿐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 해 이들의 임금인상률이 경제성장률을 너무 앞서 나갔기 때문에 중국 경제성장이 이미 둔화되기 시작한 후 한 발 늦게 뒷걸음질을 시작했고 그 만큼 좁혀야 할 '갭(폭, 차이)'도 크다는 뜻이다.

게다가 이들에게 신용(대출·카드 등)의 활용은 이미 익숙해져 있어, 실생활에서 급여의 감소분 만큼을 신용자산으로 충당하게 된다면 계속되는 소득감소로 인한 신용경색과 채무불이행이라는 재앙이 찾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 국민의 정부 시절 ‘카드대란’이 바로 이와 닮은 꼴이었다. 당시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기업들의 실적감소, 그리고 이로 말미암은 국내 경제성장률 둔화와 근로자들의 소득감소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신용카드 발급을 적극장려했다.

그러다 불과 2년 후 천문학적인 카드사 부실자산과 엄청난 신용불량자들을 양산해 낸 후에야 손바닥 보다 작은 카드에 의존한 자신들의 경기부양책이 ‘언 발에 오줌누기’였다는 것을 깨달고 만 것이다.

소비중심 경제구조로의 변모를 추진중인 중국은 여전히 수출비중도 높다. 그만큼 교역과 수출의 경제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트럼프 당선과 함께 글로벌 ‘리플레이션(물가재상승)’ 국면으로 접어드는 큰 물결 앞에 놓인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미국과 유로존 그리고 일본의 물가상승과 이에 대응하는 각국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인상이다.

가계부채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한국 만큼이나 상업용 부동산 버블이 심각한 중국도 이 같은 금리인상 도미노 앞에서는 ‘이자비용 상승’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충격을 맨몸으로 막아내야 할 것이다.

김희욱 국제전문기자 hw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