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美 자동차 산업 '손 본다'

김희욱 기자
입력일 2016-11-27 09:47 수정일 2016-11-27 14:14 발행일 2016-11-28 17면
인쇄아이콘
애플 다음타자 '빅3' 車 기업
2009년 구제금융, 오바마 정부에 '부채의식'
clip20161127094613
미국자동차 빅3,AP통신

50여일 앞으로 다가온 새정부가 점차 모양을 갖춰가는 가운데 미국의 자동차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자 공약가운데 핵심은 ‘아메리칸 퍼스트’였고 애플 같은 기업들의 생산공장을 다시 미국으로 ‘리턴’시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대대적인 세금감면을 약속한 트럼프가 이제는 자동차 업계를 겨냥하고 있다.

미국 ‘빅3’ 자동차 제조사(GM·포드·크라이슬러)는 2009년 금융위기 이듬해 파산직전까지 내몰렸고 결국 오바마 정부의 구제자금을 받아 기사회생했다. 하지만 이들 자동차 공장이 밀집한 지역 오하이오와 미시간주는 일찌감치 트럼프 지지를 내세우며 일찌감치 ‘환승’길에 나섰다. 비록 오바마 정부로부터 구제자금을 받았지만 이제 위기를 넘긴 이들에게는 그만큼 트럼프의 멕시코 공장 미국내로 이전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공약이 임팩트가 컸던 것이다.

이들 빅3는 수익성이 낮은 소형차를 인건비 포함 생산단가가 낮은 멕시코에 주로 맡겨왔지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SUV나 미니밴 같은 크로스오버 차량들도 점차 멕시코 생산비중이 올라가고 있는 추세다. 여기에는 미국·캐나다·멕시코 3개국인 맺은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의 공헌이 컸다. 특히 이들 3개국간에는 값 싼 노동력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조항이 핵심인데 새로 들어설 트럼프 정부 4년동안 과연 이 NAFTA가 무사할지는 불투명하다.

이 밖에도 미국 자동차 업계의 새정부에 대한 불안요소는 더 있다. Fed(연방준비제도이사회) 금리인상 기조에 불이 붙으면서 자동차 할부대출 금리가 올라 판매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반드시 트럼프 정부와 연관된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 하지만 그동안 오바마 정부에서 전격 장려해 온 전기차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거나 미국내 생산비중이 올라갈 경우 강성인 미국 자동차 노조에만 득이 된다는 점 등은 추후 워싱턴에 대한 불만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미국과 중국간의 통상마찰이 본격화 될 경우 세계 자동차 소비 2위이자 이들 빅3에 ‘개척의 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중국시장 판매 역시 통상마찰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이들 빅3를 긴장시키고 있다.

김희욱 기자 hw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