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시대' ICT 문 두드려야 열린다

이혜미 기자
입력일 2014-12-21 16:06 수정일 2014-12-21 17:40 발행일 2014-12-22 10면
인쇄아이콘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현대모비스가 도로에서 차량의 자율주행을 시연하고 있다.(현대모비스 제공)

오는 2020년이면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핵심부품 개발과 자동차-ICT(정보통신기술) 간 융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2일 관련업계와 학계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개발을 놓고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자율주행 기술 역시 상당 수준에 올라있고 이를 바탕으로 2020년에는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은 사람이 운전석에 탑재한 상태를 전제로 목적지까지의 부분 혹은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상황을 말한다. 운전자의 부담을 덜어 사고방지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이다.

노현승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부장은 “자율주행차가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경우보다 사고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승객 안전과 편의를 위해서 추구해야할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와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수행중인 현대모비스는 지난 9월 자율주행시스템과 자율주차시스템 시연에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국내 자율주행 구현 기술은 일정 수준에 이르렀지만 핵심부품의 기술력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카메라, 센서 등을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문종덕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카 PD(Program Director)는 “세계시장 점유율이 약 9%에 달하는 현대기아차의 경우 국내 부품이 자율주행에 약해 외산 부품을 쓰고 있다”면서 “가격경쟁이나 기술경쟁 등을 고려할 때 국내 부품의 기술력이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자동차-ICT산업 간 융합의 중요성을 말하는 목소리도 높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자동차 본연의 기능과 함께 자동화, 첨단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시간 교통정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등의 ICT 기술이 필요하다. 산업간 교류와 융합없이는 기술의 한계를 넘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완성차는 부품사와의 시너지효과도 중요하지만 ICT에 강한 국내 기업들과의 융합, 즉 적과의 동침도 필요하다”면서 “예를 들면 현대기아차가 삼성, LG 등 뛰어난 IT기술을 가진 전자그룹들과 뭉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미국 자율주행시스템 수준을 100으로 볼 때, 우리나라도 85정도까지는 왔다”면서 “자동차-ICT산업 간 융합이 잘 이뤄져 시너지 효과를 낸다면 충분히 따라잡고 심지어 앞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서는 관련 법제도 정비와 자율주행에 대한 운전자와 사회의 수용성 문제도 존재한다. 운전자 수용성은 운전자가 자율주행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교감하는 것을 말하며, 사회적 수용성은 사고가 났을 때 운전자, 자동차 제조사, 도로 시설 담당자 중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등 법적인 문제에 대한 수용을 의미한다.

김문식 자동차부품연구원 자율주행기술연구센터 박사는 “업계에서는 운전자 수용성이나 사회적 수용성을 만족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