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안전정보 손안에…'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이혜미 기자
입력일 2014-09-30 13:18 수정일 2014-09-30 19:08 발행일 2014-09-30 99면
인쇄아이콘
안전한 귀갓길이나 침수 예상지점 같은 동네 안전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인터넷·모바일 생활안전지도 서비스가 시작됐다.

안전행정부는 전국 15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제공한다고 30일 밝혔다.

생활안전지도는 안전정보통합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정보 중 치안, 교통, 재난, 맞춤안전 등 4대 안전분야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형태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이번에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범지역은 서울 송파·성북구, 부산 부산진구, 인천 남구, 광주 광산구, 대전 서구, 경기 안양·시흥시, 충북 충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구미시, 제주 제주시, 대구 달성군, 전남 무안군, 경남 거창군 등 15곳이다.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웹사이트(

www.safemap.go.kr)를 방문하거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으면 된다.

아이폰 애플리케이션도 다음 달 중으로 제공된다.

치안분야 생활안전지도는 강도, 성폭력, 절도, 폭력 등 4대 범죄 발생빈도에 따라 등급을 나눠 범죄 빈도가 높은 지역은 진하게, 낮은 지역은 흰색으로 표시해 사용자가 지역의 위험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교통분야는 교통사고 발생빈도를, 재난안전지도는 산사태와 화재 등 발생빈도 및 발생가능성을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했다.

또 어린이, 여성, 노인 등 안전취약계층에 적합한 ‘맞춤안전지도’도 제공된다.

그러나 위험지역 ‘낙인효과’나 자산가치 하락 등 부작용을 감안해 침수예상도 및 침수흔적도, 범죄정보는 도로, 보행로, 공원 등 비주거지역에만 표출돼 기획 당시보다는 완성도가 낮아졌다.

특히 범죄정보 등은 지역 간 비교를 할 수 없도록 특정 지역(시군구) 안에서 상대적인 위험도만을 시각화했다.

이번 생활안전지도 개발에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경찰청, 소방방재청, 산림청, 도로교통공단 등이 참여했으며 서버 비용을 포함해 약 120억원이 들었다.

연구원은 생활안전지도 공개에 앞서 국제세미나, 지역주민 설명회와 지자체 설명회 등 정책설명회 6차례 실시해 전문가와 지역의 의견을 수렴했다.

안행부는 15개 시범지역의 성과를 분석해 연말까지 100개 지역, 내년 말 전체 자치단체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공개 분야도 현재 4개 분야에서 내년에는 시설안전과 사고안전, 그 이듬해에는 산업안전과 보건식품안전을 추가해 총 8개 분야로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안전신고통합포털로 접수한 신고를 생활안전지도에 반영, ‘쌍방향’ 지도서비스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이재율 안행부 안전관리본부장은 “생활안전지도는 등하굣길 어린이나 밤길 귀가 여성의 안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자치단체가 생활안전지도의 위험요소를 해소하는 데 안전예산을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