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국내 선적능력, 2016년 수준 하회… 선박금융 조성 등 지원책 마련"

우주성 기자
입력일 2021-10-14 06:00 수정일 2021-10-14 06:00 발행일 2021-10-14 99면
인쇄아이콘
noname01
주요 국내선사 선복량 추이.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해운 수송능력을 나타내는 한국의 선복량 점유율 회복 속도가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4일 ‘해운산업 국제비교와 시사점’에서 한국의 선복량 점유율이 한진해운 파산을 계기로 하락해, 아직 2016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또 “최근 주요 노선 운임이 급증한 상황에서, 해운산업의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해운산업은 대형선사의 M&A 등을 통해 소수 대형 선사가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과점화가 진행 중이다. 최근 물동량 증가로 글로벌 선사의 신규 선박 발주도 증가하고 있다. 해운조사업체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컨테이너선 발주는 집계를 시작한 1996년 이후 최대 규모를 넘어섰다. 특히 세계 2위 선사인 스위스 MSC는 최근 한국 HMM의 전체 선복량(83만TEU)보다도 큰 규모의 컨테이너선 발주(90만TEU)를 기록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7위 한진해운의 파산으로 감소했던 선복량과 노선 점유율이 아직 회복되지 못한 상태다. 올해 아시아·미주서부 노선 점유율도 2016년 11.4%에서 4.1%포인트 하락한 7.3%에 그쳤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이후 수요 위축이 빠르게 반등해 물동량이 증가한 반면, 선박 부족과 항만 지연이 발생해 물류 대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규모의 경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국내선사의 선복량과 점유율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전경련은 다른 나라보다 낮은 자국 화물에 대한 국내선사의 적취율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운회사에 자본투자를 담당할 선박금융의 조성 필요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전경련은 해운회사가 선박투자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투자자 세제 혜택 등 선박금융 조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량화주의 해운업 진출 규제를 개선해 대량화주 또는 공공기관이 해운회사 지분 투자가 가능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위기 중에 나타난 한국 패싱현상으로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화주와 선주가 안정적인 상생 협력 구조를 만들고 장기적인 해운산업 성장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우주성 기자 wjsbur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