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해킹에 노출된 열화상카메라

조택영 기자
입력일 2021-09-09 14:24 수정일 2021-09-09 17:14 발행일 2021-09-10 19면
인쇄아이콘
조택영 정치경제부 기자
조택영 정치경제부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으면서 체온을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부작용도 뒤따르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일부 열화상카메라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킹 위험이 곳곳에서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편리성을 위해 열화상카메라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해킹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열화상카메라를 출입자 체온 측정 외에도 인터넷과 연결해 임직원 출퇴근 관리용으로 이용하면서 얼굴·음성 등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물론 모든 열화상카메라가 이런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인지 아닌지 얼굴을 인식하고 체온만 측정한 뒤 관련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지 않는 기기도 많다. 그러나 편리성을 위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해지면서 해킹 등 사이버침해 위험성이 높아진 기기도 많은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긴급 점검에 돌입하고, 추가적인 보안 취약점 점검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인터넷 연결이 필요 없는 기기를 사용하거나, 기기를 인터넷과 연결하지 않는 등의 조치를 하고 정보보호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해달라는 당부의 메시지도 전했다.

그러나 이런 조치는 임시방편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아이러니하게도 정보보호인증을 받은 열화상카메라는 아직 한 대도 없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현재가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지적한다.

정부도 이를 실감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제조사를 찾아다니며 정보보호인증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강제 인증이 아닌 자율 인증이라는 점, 업체에서 별도의 개발자를 투입해야 하는 점 등 때문에 정보보호인증 정착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보안 취약점이 없어 정보보호인증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소비자의 인식 때문에 인증을 신청해야 한다는 점에서 억울해 하는 제조사도 있다고 한다.

대책 논의가 필요한 때다. 열화상카메라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민들이 ‘물 마시듯’ 이용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정부-국회-기업의 적극적인 행동이 시급하다. 현재도 해킹 위협은 곳곳에서 도사리고 있다.

조택영 정치경제부 기자 cty@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