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상인들도 모르는 '온누리 모바일상품권'

유승호 기자
입력일 2019-10-03 15:35 수정일 2019-10-03 15:37 발행일 2019-10-04 19면
인쇄아이콘
크기변환_승
유승호 생활경제부 기자

지난 주말 집에서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온누리 모바일상품권 도입이 됐다는 얘기가 머리를 스쳤다. 머리맡에 있던 스마트폰을 집어 들어 앱을 설치했다. 1만원권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을 구매해 집 근처 전통시장을 찾았다. 떡볶이, 튀김 등을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으로 구매하려고 하자 돌아온 답변은 “그게 뭐예요. 온누리상품권이 스마트폰으로 되나요”라는 말이었다.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이 시중에 도입된 지 한 달이 됐다. 전통시장 활성화와 상품권 부정유통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실효성 논란이 있었다. 심지어 사용성에 의문을 제기한 용역 연구보고서도 존재했다.

우려가 현실이 됐다. 전통시장 상인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외면하고 있다. 홍보가 덜 됐다는 것도 문제지만 사용방식이 불편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은 소비자가 가맹점에 비치된 QR코드를 결제 앱으로 촬영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QR코드를 찍고 결제 금액도 직접 입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제로페이 역시 이 같은 불편 때문에 바코드를 활용한 결제방식으로 바꾸고 있다. 이를 위해선 매장 내 포스(POS) 설치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통시장의 경우 포스 설치 매장이 많지도 않고 노점의 경우 포스 설치가 어렵다는 게 걸림돌이다.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도입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그간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카드 결제, 온누리 전자상품권 등 다양한 정책과 단말기 보급을 시행했으나 실제 사용은 미미했다.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의 사용률은 제로페이 사용률보다 더 낮을 공산이 크다. 도입 한 달을 맞은 온누리 모바일상품권은 현재 안착 혹은 좌초 두 갈림길에 서있다.

유승호 생활경제부 기자 peter@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