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른 북한의료발전을 위한 한국의 역할은?

노은희 기자
입력일 2018-09-17 16:27 수정일 2018-09-17 16:32 발행일 2018-09-18 3면
인쇄아이콘

평양에서 개최될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관계의 개선에 따른 보건분야의 지원 및 협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조건적 지원’이 아닌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대화해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북한 인구의 평균 나이는 34세로 고령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 심혈관질환·당뇨·만성간질환·암 등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약물 오남용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재 북한은 보건의료기술 발전, 원격의료 등 12가지 우선순위와 전염성·비전염성 관리 등 8대 전략분야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세계보건의료기구 등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해외원조와 지원에 있어 북한의 의료 상황을 파악한 후 계획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베트남 탕롱 대학 팜 후이 둥 교수는 “베트남도 공산당 체제에서 과거 해외 의료지원을 많이 받았는데 예를 들면 출산 테이블은 많이 들어왔지만 관련 의료진들의 부족으로 해외지원품들이 낭비되고, 관련 보고서 작성 부담이 커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료지원에 있어 이런 해외원조의 낭비를 막기 위한 지원과 의료환경에 맞는 지원 등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이번 회담결과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정부의 지원은 재정보다는 기술 또는 시범사업 선에서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일동 박사(전 한국개발연구원 북한연구실장)는 “의료분야에 있어서 자금 지원의 어려움은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며 “현재로서 정부차원의 지원은 기술적, 시범사업 선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있고 북한이 적극성을 보인다면 남북협력기금으로 충당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