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희 "부자가 8년 더 건강하게…소득 따른 '건강수명'도 격차"

권새나 기자
입력일 2024-10-15 12:17 수정일 2024-10-15 12:27
인쇄아이콘
노인의 날인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한 어르신이 길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생활하는 기간을 뜻하는 '건강수명'이 소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6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는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 격차는 10년 만에 7.1세에서 8.2세로 1.1세 더 벌어졌다.

자살사망률, 치매 관리율, 고혈압 유병률 등도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여성 자살사망률은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인구 10만명당 8.9명에서 2022년 10명으로 1.1명 늘었다

치매는 소득에 따른 치매안심센터 치매환자 등록·관리율 격차가 지난 2018년 52.2%포인트에서 2023년 56.5%포인트로 커졌다.

여성의 암 발생률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 격차가 2018년 97.3명에서 2021년 117.4명으로 20.1명이나 격차가 더 벌어졌다. 남성의 경우 같은 기간 78.3명에서 79명으로 0.7명으로 격차가 커졌다.

고혈압 유병률도 남성의 경우 소득에 따른 격차가 2018년 5.4%포인트에서 2022년 7.7%포인트로 커졌고, 남성 비만 유병률도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 격차가 같은 기간 1.1%포인트에서 4.2%포인트로 벌어졌다.

김 의원은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을 이유로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며 "모두가 존엄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는데 소득, 지역 등을 이유로 국민들의 건강까지 불평등해지는 것은 옳지 못하다. 지역별 균등한 의료시스템 편성과 더 보편적인 복지 시스템의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새나 기자 saena@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