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광주형일자리, 광주시 결단에 달렸다

이재훈 기자
입력일 2018-11-28 15:27 수정일 2018-11-28 15:28 발행일 2018-11-29 23면
인쇄아이콘
이재훈 2
이재훈 산업IT부 기자

문재인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광주형일자리’ 사업이 길을 헤매고 있다. 고액의 임금을 절반으로 줄여 근로자에게 많은 일자리를 주고, 회사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템이지만 객이 너무 많아 배가 산으로 가는 모양새다. 광주시가 이 사업을 추진할 때 적격 사업자는 국내에서 현대차가 유일했다. 물론 앞으로도 유일할 것이다. 사업 자체가 제조업을 근간으로 하고, 단일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한정됐기 때문이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바람 앞의 촛불 신세다. 국내 ‘사드’ 설치 문제로 중국에서 현대·기아차의 판매망이 무너졌고, 북미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기조로 무려 25%의 수입차 관세를 물어야 할 위기다. 여기에 GM은 한국지엠 판매 악화 등을 이유로 1200명의 군산공장 직원을 한순간에 실직자로 만들고, 공장까지 폐쇄시켰다.

광주형일자리는 이렇듯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국내 자동차 업체와 대량 취업 준비생들의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절묘한 연결고리로, 사업 초기 국민적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현재 고액의 연봉을 받는 현대·기아차 노조의 총파업을 볼모로 한 무조건적 반대와 사업주를 생각하지 않는 ‘높은 임금 및 근무조건’ 등은 가뜩이나 길을 잃은 현대차를 더욱 더 깊은 수렁으로 밀어넣고 있다.

해외 판매 악화 및 원달러 환율 하락 등으로 사상 최악의 실적 부진을 겪는 현대차는 정부와 지자체, 국민적 요구 등을 감안해 광주형일자리에 참여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광주시와 정부, 노동계는 현대차에 불리한 조건을 강요해왔다. 결국 국회 예산을 받지 못할 위기에 놓인 광주시가 뒤늦게 현대차가 참여할 수 있는 재협상안을 꺼내드는 모습이다. ‘수익성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진리를 이제서야 깨달을 셈이다. 사업 성공을 위해 광주시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할 때다.

이재훈 산업IT부 기자 yes@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