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신흥국 '6월 위기설'… '강 건너 불' 아니다

김진호 기자
입력일 2018-05-13 15:55 수정일 2018-05-13 15:56 발행일 2018-05-14 23면
인쇄아이콘
2017071801010010725_p1
김진호 금융부 기자

신흥국 ‘6월 위기설’이 시장에 확산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 정상화에 속도를 내며 신흥국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자금유출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다.

진원은 아르헨티나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심화되며 통화와 자산가치가 급락한 아르헨티나는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IMF가 권유하는 외환보유액 수준을 맞추고 금리를 열흘 새 세 차례나 인상해 40%까지 끌어올리는 극약처방도 속수무책이었다.

터키, 브라질 등 여타 신흥국의 금융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이들 모두 경상수지 적자가 심각한 데다 물가상승 부담도 커 자금 유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다음 달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확실시되는 만큼 신흥국에서의 자금 유출이 더욱 빠르게 확산돼 지난 2013년의 ‘긴축발작(테이퍼 탠트럼)’이 재연될 수 있는 공포심리가 시장에 빠르게 퍼지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문제가 불거지는 신흥국들과 사정이 다르다는 입장이다. 경상수지 흑자 폭이 큰 상황에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에 육박하고 주요 기축통화국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해 안전하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앞으로 내외금리 차가 더 확대될 것이 분명한 상황에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시화될 경우 외국인 자금 이탈이 급속도로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출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수출액에서 신흥국 수출 비중은 57.3%에 달한다.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정부는 정밀한 상황 모니터링과 과감한 선제 정책으로 금융시장에 확실한 시그널을 보내야 한다. 신흥국 ‘6월 위기설’이 우리에게 ‘강 건너 불 구경’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정부는 명심할 필요가 있다.

김진호 금융부 기자 elma@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