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언제까지 '금융 홀대론'인가

최재영 기자
입력일 2017-09-06 15:05 수정일 2017-09-06 15:06 발행일 2017-09-07 23면
인쇄아이콘
최재영ㅇ
최재영 금융부 기자

요즘 금융가의 화두는 ‘금융 홀대론’이다. 새 정부가 출범 이후 4개월 동안 각종 정책들을 쏟아냈지만 금융권은 소외돼 있어 ‘찬밥’ 신세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 홀대론을 보여주는 장면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금융권 공공기관 최고경영자(CEO) 인사는 시계가 여전히 멈춰 있고, 금융경력이 전무한 김조원 전 감사원 사무총장이 금융감독원장에 내정됐다는 소문도 들린다.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 경제사절단에 금융권 인사가 단 한 명도 없었다는 사실에서도 현 정부의 금융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 방미 수행단에 금융계 인사가 제외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금융권에서는 “새정부에서 금융은 산업차원에서는 중요하게 보지 않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입을 모은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최근 “시각 차이에서 빚어진 오해”라며 홀대론을 부정하고 나섰지만 정부 정책만 놓고 보면 해명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지금까지 정부의 금융정책은 일자리, 가계부채, 수수료, 빚 탕감 등 서민 지원에만 중점을 뒀을 뿐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것은 전무하다. 노무현 정부는 물론 이명박·박근혜 정부도 금융산업 육성을 주요 과제로 내놓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금융이 우리 경제나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서민이나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정부가 금융을 단순히 경제나 정책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보는 인식이 너무 강하다. 금융 홀대론의 배경이기도 하다.

최근 4차 산업혁명 바람이 거세지면서 글로벌 금융사들도 핀테크, 사물인터넷 등 최첨단으로 무장하고 있다. 금융사들이 글로벌 경쟁력에서 뒤처지기 전에 정부가 하루 빨리 금융산업 육성책을 내놓아야 한다.

최재영 금융부 기자 sometimes@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