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업계, 미충원·역량부족 등 인력문제 심각…인적자원개발 전략 시급"

김지희 기자
입력일 2017-08-15 10:19 수정일 2017-08-15 17:52 발행일 2017-08-15 99면
인쇄아이콘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을 견인했던 반도체 등 전자산업에서 인력문제가 심각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전자산업의 미래 인력 확보 등을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등이 최근 발간한 ‘전자산업 인력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전자산업의 인력수요는 5만3457명에 달했으나 실제 기업에 채용된 인원은 4만6429명에 그쳤다. 구인 인원에서 채용 인원을 제외한 ‘미충원 인원’은 7028명 규모로, 전년 동기 6381명에 비해 10.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산업 미충원 인원 8만9638명 가운데 전자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8%를 기록해 6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운전·운송(15.3%) △ 경영·회계·사무(11.6%) △기계(8.1%) △보건의료(8.0%) △영업·판매(7.9%) 등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어 보고서는 관련 직종 가운데 연구개발직의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이 기능직보다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컴퓨터 하드웨어·통신공학 기술자, 연구원의 미충원률은 33.1%에 달했다.

또 직능 수준이 높을 수록 공급인력이 요구 능력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분석이다. 전자산업 관련 기업들이 인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소 역량이 부족한 인력도 채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역량 부족 인원’은 507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즉각적, 효과적 인력 활용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진단이다.

이밖에도 기업의 정상적 운영에 필요한 인력 유지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이직, 퇴직 등 인력 유출을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자산업 이직자는 전체 제조업 이직자의 11.7%에 달하는 1만2303명을 기록했다. 퇴직자의 경우 4만3389명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미래 인력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복합적 문제해결능력, 기술적 역량 중심의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에 따라 전자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업무환경이 변화될 전망”이라며 “전자산업은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문제해결능력 중심의 직무역량을 갖춘 인력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희 기자 je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