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집단대출 심사 강화…2금융권 풍선효과 미미

이나리 기자
입력일 2016-03-09 16:30 수정일 2016-03-09 18:09 발행일 2016-03-09 6면
인쇄아이콘
9

시중은행들이 리스크관리 강화를 이유로 중도금 집단대출을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대출 물량이 2금융권으로 흘러갈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그러나 2금융권이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의 대출심사를 진행하고 있어 집단대출의 풍선효과는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2금융권인 새마을금고와 신협, 상호금융권인 수협은행 등에 따르면 집단대출 증가세는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당초 시중은행에서 거절당한 집단대출이 2금융권으로 몰려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와는 상반된 결과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0월 가계부채 억제 대책의 일환으로 시중은행에 집단대출 규제 강화를 요청한 바 있다. 시중은행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한 건설사들은 대출 금리가 1%포인트 이상 높은 2금융권으로 넘어가 건설사와 계약자의 이자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시중은행의 대출승인이 깐깐해진 만큼 2금융권 역시 대출심사를 강화해 큰 여파가 없었다.

수협은행의 경우 지난해 12월 말 기준 집단대출 잔액이 4491억원에서 올해 2월 5047억원으로 두 달 새 소폭 증가(556억원)하는데 그쳤다. 수협 측은 평균 증가세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오히려 같은 기간 연체율은 0.78%에서 0.07%로 낮아졌다.

신협 역시 지난해 12월 2조127억원에서 올해 1월 2조1931억원으로 1804억원 증가했다. 신협 관계자는 “평균적인 증가 규모로 같은 기간 연체율은 오히려 낮아졌다”며 “신협의 집단대출 심사 기준은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으로 우량물건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 연체율도 낮고, 잔액도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의 집단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2금융권에도 동일한 여파를 낳고 있다”며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도 대출심사 기준 심사를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2월 말 2조873억원에서 올해 1월 2조2275억원으로 1402억원 증가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이정도 증가액은 1000세대 대출 규모도 안되는 금액으로 두드러진 증가 추이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집단대출이 금융당국의 주택담보대출 가이드라인인 ‘비거치·분할상환’ 심사 강화에서 제외됐으나 가계부채 규제책 자체가 부동산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집단대출 시장에 불똥이 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한 부동산 경기 악화도 은행들의 대출 심사를 강화하게 만든 요인으로 꼽힌다.

때문에 건설업계는 금융권의 심사 강화가 건설사와 계약자에게 피해를 주는 등 부동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며 금융당국에 집단대출 규제 정상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아파트 중도금 대출 등 집단대출을 금융당국이 규제할 생각이 없다”며 일각의 지적에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이나리 기자 nallee-babo@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