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메르스 종합대책 발표… '불협화음' 중앙·지방정부도 한목소리

권성중 기자
입력일 2015-06-07 17:18 수정일 2015-06-08 18:23 발행일 2015-06-08 1면
인쇄아이콘

브릿지경제 권성중 기자 = 정부는 7일 병원 명단 공개를 비롯해 재난관리기금·예비비 등 활용, 6월 중순까지 총력대응체계 돌입, 자택격리자에 대한 1:1 모니터링 등 관련 대책을 내놓았다.

여·야 등 정치권도 메르스 확산 사태를 차단하기 위해 초당적인 협력을 다짐하고, 중앙정부와 서울시 등 4개 광역 자치단체도 이날 한자리에 모여 메르스 대응을 위한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경기도 평택성모병원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지 19일만이다. 정부와 지자체, 여·야 등 정치권이 모두 메르스 확산 사태를 막아내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낸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총력대응에도 불구, 병원명단 등 메르스 관련 정보가 너무 늦게 공개돼 메르스 관련 온갖 ‘괴담’과 ‘유언비어’를 낳게 하는 등 정부의 늑장대응에 대한 비난은 여전히 거셀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이미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실제와는 관계없는 지역의 병원에 확진 환자가 입원해 있다는 등의 ‘괴담’이 퍼져나간데다 명단 곳곳에서 오류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정부가 발표한 메르스 관련 병원명단을 접한 시민들은 “이렇게 밝힐 거면 진작에 밝힐 것이지 너무 늦게 정보를 공개하는 바람에 병원 기피 등 혼란이 가중됐다”고 안타까워했다.

회사원 강모(42)씨는 “SNS를 통해 받은 ‘메르스 병원’ 명단에는 집 근처 병원이름이 올라 있었는데 오늘 정부가 내놓은 명단에는 이 병원 이름이 빠져있다. 병원명단을 좀더 일찍 공개했으면, 환자들이 안심하고 이 병원을 찾을 수 있었을 것이고, 이 병원도 유언비어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도 고양시의 명지병원 등은 ‘메르스 청정병원’임에도 불구, SNS를 통해 전파되는 과정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곳이니 명지병원에 가지 마세요”라는 경고문이 등장해 적잖은 피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메르스 병원에 관한 정보를 정작 병원과 의료진에도 숨겨 사태를 더욱 크게 한 징후가 농후하다.

삼성서울병원 송재훈 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14번 환자가 응급실에 오기 전 치료를 받은) 평택굿모닝병원에서 메르스가 발생했다는 정보가 당시에 없었다”면서 이 환자를 메르스 의심으로 분류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으로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14번 환자에게 세균성 폐렴 치료를 지속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치료 사흘째인 지난달 29일 밤늦게서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14번 환자가 ‘메르스 노출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를 처음으로 들었다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최초 환자가 내원했을 때 메르스를 의심하고 질병관리본부에 검사를 의뢰, 국내 유입 확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14번의 경우는 지난달 27일 당시로서는 도저히 메르스와 연관을 지을 고리가 없었다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4번 환자와 접촉해 격리된 사람이 의료진 등 893명에 이른다.

메르스 관련 정보를 정부가 움켜쥔 사이 메르스 감염에 대한 괴담과 함께 많은 병원명들이 인터넷에 떠돌아 다녀 시민들에게 공포감을 확산시켰다. 또한 병원들이 애꿎은 피해를 입고 해명 글을 올리기도 했으며, 메르스 환자들이 거쳐간 ‘지도’ 및 어플리케이션 등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서울 대치동과 부산, 경기도 고양시 등에서는 SNS를 통해 메르스와 관련한 ‘괴담’을 퍼뜨린 사람들이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으며, 경기도 안산, 부천 등지에서는 관할 병원으로부터 “메르스 관련 유언비어로 피해를 보았다”는 진정을 접수,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가장 민감한 부분인 병원명단공개에서도 오류가 나오자 SNS에서는 “대책 없는 정부”, “정확한 병원명단도 모르는 정부를 믿을 수 있겠나”란 비난이 쏟아졌으나 “이제라도 알게되서 다행이다”, “이번에는 제발 마무리 하자”란 긍정적인 의견도 있었다.

38

권성중 기자 goodmatter@viva100.com

'메르스'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