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기업'…5명 이상 뜻 모았다면 '인큐베이팅제도' 활용을

김정욱 기자
입력일 2014-10-22 13:53 수정일 2014-10-22 19:03 발행일 2014-10-23 14면
인쇄아이콘
'지역경제 신모델' 마을기업 설립하려면
마을공동체 기반 지역자원 활용…주민가치·욕구 실현
진주서 대한민국 마을기업박람회 개막
지난 1일 경남 진주시 칠암동 남강둔치 일원에서 열린 ‘2014 대한민국 마을기업 박람회’.(연합)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마을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팔을 걷어 올렸다.

마을기업이란 마을공동체에 기반을 둔 기업으로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동적 관계망에 기초해 주민의 욕구와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마을 공동체의 가치와 철학을 실현하는 회사이다.

마을기업의 장점은 민주적 운영과 협동조합 운영원리에 기초해 마을 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특성화된 자원을 이용해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안정행정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국적으로 1119곳이다.

마을기업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협동조합의 원리를 적용한 정관을 만들고 5인 이상의 주민이 참여하면 된다.

마을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마을주민이 사업계획을 수립해 각 지자체에 신청서를 낸 뒤 심사를 통해 ‘적격’으로 판정받아야 한다. 각 지자체가 적격 판정을 내리면 안정행정부는 마을기업으로 지정한다.

지자체들 가운데 마을기업 육성에 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곳은 서울시다. 10월 현재 서울시에는 568곳의 마을기업이 있으며, 마을기업 육성을 위해 서울시는 인큐베이팅 제도, 상시등록 제도, 단계별 지원 제도, 플랫폼과 지역기금 제도 등 4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인큐베이팅 제도는 마을관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자원을 연계해줄 수 있는 인큐베이터를 지원해주는 것이다. 서울시는 25개의 각 자치구에 마을기업에 대한 상담을 해줄 수 있는 인력자원인 인큐베이터를 배치하고 있다.

상시등록 제도는 민간 자율성 확보 차원에서 마을기업을 아무 때나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단계별 지원 제도는 창업시기만 지원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아이템을 구상하는 예비 마을기업과 이미 창업된 마을기업에 대해 필요한 사항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또 플랫폼과 지역기금제도는 마을과 주민의 활동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만들어 마을공동체를 확장하고, 지역기금을 추진해 마을기업에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제도다.

20

서울시에서는 마을기업과 관련한 교육도 진행한다. 교육은 기본교육, 심화교육, 팀 워크숍 등 3차에 걸쳐 이뤄진다.

기본교육에서는 마을공동체와 마을기업의 개념과 철학, 서울시 마을기업 지원내용과 절차를 안내하고, 심화교육에서는 마을부문과 경영부문으로 나뉘어 마을공동체 및 사회적경제 영역에 대한 교육을 한다. 팀 워크숍은 마을기업의 사업계획서 작성법과 또 이를 수정 보완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또 공간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해주고 있으며, 마을기업의 아이템 발굴을 도와주는 차원에서 조사비 및 의제발굴비 명목으로 100만원을 지원한다.

서울시마을기업사업단은 “마을기업 창업기에 공간지원 및 사업비 지원을 받으려면 반드시 기본교육, 심화교육, 팀 워크숍 등의 교육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면서 “각 단계별 교육참여 인원과 진행방법, 제출서류 등은 인큐베이터에게 도움을 받으면 된다”고 설명했다.

안행부는 “2011년부터 3년 간 마을기업 운영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마을기업의 더 큰 도약을 위해 지원을 확장하고 있다”면서 “올해는 190억원의 예산을 마련해 마을기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2017년까지 마을기업을 1700곳까지 늘리고 1만2000개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김정욱 기자 kj@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