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시장 정체기…수익구조 다변화해야”

조민영 기자
입력일 2014-10-18 14:22 수정일 2014-10-18 20:59 발행일 2014-10-18 99면
인쇄아이콘
부실채권(NPL)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부실채권에 투자하는 금융사들의 수익구조가 다변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수면위로 올랐다.

부실채권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이뤄지지 않아 회수가 불확실한 대출채권을 가리킨다. 은행들은 보통 대출금액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채권을 팔거나 회계상 손실로 처리한다. 반면 부실채권에 투자하는 금융회사들은 채권 담보 처분 등을 통해 수익을 올린다.

김수기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8일 ‘국내 부실채권시장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국내 부실채권 규모는 2011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고있다고 말했다.

국내 부실채권시장은 외환위기 당시 민간 금융회사의 참여 확대로 활성화됐다. 외환위기와 신용카드 사태 등의 영향으로 확대됐던 부실채권 규모는 2011년 38조7000억원까지 증가했으나 최근 정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으로 유입되는 은행권 부실채권 물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 부실채권시장에 참여하는 금융회사의 증가로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면서 연 10%대를 유지하던 투자수익률이 올해 들어 5%대로 하락했다는 점도 성장둔화를 부추겼다.

문제는 금융회사들의 사업구조가 단순히 담보부실채권과 같은 저위험 투자대상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부실채권 투자회사들의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담보부실채권과 같은 저위험 투자대상 비중은 83.5%에 달한다”며 “이 때문에 은행권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부실채권들이 적절히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부실채권 투자회사들이 다양한 유형의 부실채권에 투자하며 수익구조를 다변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적시에 부실채권 정리가 가능해질 경우 은행의 수익성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실채권 투자회사들은 특별채권, PF채권, 무담보채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부실채권에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민영 기자 mine8989@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