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가족보다 개인지향적인 제도가 필요하다”

이혜미 기자
입력일 2014-08-26 11:36 수정일 2014-08-26 13:37 발행일 2014-08-25 99면
인쇄아이콘
노인에 초점 맞추는 정책, 세대간 갈등 불러 올 수 있어
어릴때부터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갖춰야
사회학자가 바라본 100세 시대
<p>손자·손녀에게 책을 읽어주고 있는 조부모. (게티이미지)

우리나라가 100세 시대로 다가감에 따라 그동안 정책이나 사회 관습도 100세 시대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전에는 ‘60세 인생’이었다면 이제는 ‘100세 인생’이고,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틀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여가학(문화사회학) 박사인 아주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이현서 교수는 세대간 갈등을 염두에 둔 노인층 지원 정책과 100세 시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정부에서는 노인층의 기초생활에 대한 경제적인 부분과 여가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그러나 지금처럼 정부지원정책이 유지될 경우 세대간의 갈등 심화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세대간 갈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고령자끼리 상부상조하는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고령자 중 상위층을 대상으로 세금을 더 내는 것이 하나의 예”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무엇보다 100세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년층 스스로가 독립적으로 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돕고 그들의 능력을 키우는 부분”이라면서 “노년층 스스로가 자립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정책들이 논의되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100세 시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부분에서 “현재 노인들은 자신이 능력만 된다면 일하고 살아야 한다는 인식은 강하다”고 말하는 그는 “다만 이러한 부분이 고령자들에 국한되어 있는 부분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모든 이들이 100세 시대를 맞고 있기 때문에 모두가 100세까지 일하고 살게 된다는 공감대 형성이 있어야만 진정으로 행복하고 준비된 100세 시대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학박사인 동의대학교 경찰행정학부 김상원 교수는 “최근 노년층의 빈곤이나 고립 등의 문제로 자살이나 일탈 문제가 많아졌다”면서 “사회안정망 또는 사회복지제도의 차원에서 이들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사회의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면서 “그만큼 이들의 역할이나 활동이 사회의 안정에 큰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의료제도나 사회보장제도 강화를 통해 이들을 돌볼 수 있는 정책과 지원들이 활성화돼야 한다”며 “사회인식적인 부분에서도 경제적인 가치에서 이들의 역할을 바라보지말고 사회의 밑거름을 마련한 사회의 어른으로서 바라보고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김진영 부교수는 “우리나라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질병이 많다”며 “노년에 갑작스럽게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중년부터, 혹은 더 이른 시기부터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제도가 갖춰져야 노인문제가 많이 해소될 것”이라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노인들의 경제적인 부분과 활동적인 측면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일자리”라고 강조하면서 “지속적으로 노인 일자리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일자리를 좀 더 확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자발적인 시민단체나 자원봉사가 활성화돼 노인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문화가 만들어진다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김영란 교수는 “100세 시대의 가장 큰 문제는 연령 변화가 아니라 어느 나라도 100세 시대를 경험한 나라가 없어 타산지석으로 삼거나, 모델로 삼을 나라가 없다는 점”이라면서 “앞으로 여러나라가 함께 협력체계를 구축해 100세 시대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함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